콘텐츠목차

부산대학교 구 본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9433
한자 釜山大學校 舊 本館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대학로63번길 2 부산대학교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조원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959년 10월 31일연표보기 - 부산대학교 구 본관 신축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6년 - 건물 내부 개·보수 공사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4년 8월부터 2년간 - 건물 원형복원 개념의 리모델링 공사
문화재 지정 일시 2014년 10월 30일연표보기 - 부산대학교 구 본관 국가등록문화재 제641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부산대학교 구 본관 국가등록문화재로 재지정
현 소재지 부산대학교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대학로63번길 2지도보기
성격 근대|문화유산|교육시설
양식 철근 콘크리트조
현황 1동(2,631㎡)
소유자 부산대학교
관리자 부산대학교
문화재 지정 번호 국가등록문화재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 부산대학교 내에 있는 교육시설.

[개설]

부산대학교 구 본관은 1957년 당시 약 358,801,310환의 공사비로 그 해 9월 착공하여 지하 1층, 지상 5층 규모로 1959년 10월 준공하였다. 이 건물은 프랑스 건축가 르 꼬르뷔제 사무실에서 수학한 건축가 김중업(金重業)의 작품이다. 설계자인 김중업은 1950년대 말과 1960년대 중반에 걸쳐 부산대학교 구 본관을 비롯하여 건국대학교, 서강대학교, 수도여자사범대학교(현 세종대학교), 제주대학교 건물 등 많은 대학교 건물을 설계한 한국의 대표적인 건축가 가운데 한 사람이다.

[변천]

부산대학교 구 본관은 1959년 10월 준공 당시 1층은 문리대(文理大), 2층은 총장실 등 대학본부와 법대(法大), 3층 상대(商大) 등으로 사용되었다. 이후 문리대와 본관으로 사용되다가, 문리대가 인문대와 자연대로 분리되면서 인문대로, 그 후 본관이 신축되어 현재는 인문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1996년 내부 개·보수 공사, 2004년 8월부터 2년간 원형복원 개념의 리모델링 공사를 하였다.

[형태]

금정산의 지형에 따라 ‘L’자형으로 자리한 부산대학교 구 본관은 1층 일부를 제외하고는 필로티로 처리하여 사람들이 자유롭게 지나다닐 수 있도록 한 모더니즘 건축양식의 학교 건물이다. 교육 프로그램의 성격을 반영한 규칙적인 모듈에 의한 평면구성과 높은 층고(層高), 전면 계단실의 넓은 유리를 통한 파노라마 경관, 후면부의 모자이크 창 구성 등은 김중업이 르 꼬르뷔제에게 사사받았던 설계수법이 적용된 결과로 볼 수 있다. 특히, 르 꼬르뷔제가 주장한 현대 건축의 5원칙 가운데 필로티, 벽의 기능적 독립, 자유로운 평면, 자유로운 건물의 정면과 구조에 제약을 받지 않는 수평창이라는 원칙을 따르고 있는 근대후기 건축양식의 전형적 작품이다.

[현황]

부산대학교 구 본관은 2014년 10월 30일 국가등록문화재 제641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국가등록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1959년 10월 준공한 이 건물은 일부 수리에 의한 변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김중업의 초기 건축 특징이 잘 남아 있다.

[의의와 평가]

부산대학교 구 본관은 준공 당시부터 부산 지역 건축계에 신선한 충격을 던졌던 건물이었다. 한국 현대건축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는 건축가인 김중업의 초기 건축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는 대표적 작품이며 부산대학교를 상징하는 중심 건물로서, 건축사 및 문화적 가치가 돋보이는 보존 가치가 높은 건축물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