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9382
한자 朴明讚
영어음역 Bak Myeongchan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인물(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동래로[복천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승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서예가
성별
본관 월성(月城)
대표경력 안락 서원 원장
출생 시기/일시 1914년 2월 28일연표보기 -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28년 - 동래제일공립보통학교 18회 졸업
활동 시기/일시 1934년 - 함안군청 서기로 근무
활동 시기/일시 1945년 - 건국 치안대 활동
활동 시기/일시 1971년 - 동래서예원 개원
활동 시기/일시 1972년 - 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 이사에 선임
활동 시기/일시 1973년 - 동래 부사 송공단 비문 씀
활동 시기/일시 1974년 - 부산대학교 정문 현판 씀
활동 시기/일시 1977년 10월 - 제1회 개인전 개최
활동 시기/일시 1980년 - 동래기영회 입회, 한중일 서예문화교류협회 이사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81년 - 부산서우회장 취임, 동래부 동헌 동익랑 현판 씀
활동 시기/일시 1983년 - 부산서예인협회 고문 및 대한민국팔각회[동래구] 이사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84년 - 고희 기념 서예전 개최
활동 시기/일시 1985년 - 동래 문화 회관 개관 기념 초대전 개최
활동 시기/일시 1987년 - 동래 안락 서원 원장 및 반송 삼절사 산장 취임
활동 시기/일시 1988년 - 동래 충렬사 경내 임진 동래 24 공신 공적 비문 씀
활동 시기/일시 1989년 - 대한민국 청곡 문화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90년 - 부산 서예가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91년 - 동래 향교 전교 취임
활동 시기/일시 1993년 - 안락 서원 재단 이사장 취임, 정과정 표석문 및 동래 지역 각종 유적지 표석문 씀
활동 시기/일시 1994년 - 승경도 놀이판 복원 제작
활동 시기/일시 1996년 - 서예가 박명찬 초대전 개최
몰년 시기/일시 1998년 1월 10일연표보기 - 사망
출생지 박영찬 출생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명장로[반여동]
거주|이주지 박영찬 이주지 - 부산광역시 동래구 동래로[복천동]
학교|수학지 동래제일공립보통학교 - 부산광역시 동래구지도보기
묘소 백운 공원묘지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두명리 산46지도보기

부산 출신의 대표적인 서예가.

[가계]

본관은 월성(月城). 호는 동계(東溪). 아버지는 박치전이고, 어머니는 청도 김씨(淸道金氏) 김말순이다. 5남 2녀 중 5남으로 태어났다. 부인은 동래 정임덕의 장녀 정모숙이다.

[활동 사항]

박명찬(朴明讚)은 1914년 2월 28일 동래군 동면 반여리[현 해운대구 반여동]에서 태어났다. 1926년 고종 때 안변 부사, 경주 부윤, 궁내부 특진관을 지낸 흠제(欽齋) 노영경(盧泳敬)에게 경전과 한학을 수학하였다. 1928년 동래제일공립보통학교[18회]를 졸업하였다. 1934년 함안군청 서기로 근무하였고, 1939년 결혼하였다. 1942년 일제 강점기 충칭[重慶]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홍보산(洪寶山)과 가깝게 지낸다 하여 부산경찰서 고등계에 수차례 불려가 고초를 당하였다.

1945년 광복이 되자 건국 치안대 활동을 하였다. 1971년 동래서예원을 개원하였고, 1972년 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 이사를 역임하였다. 1977년 10월 제1회 개인전을 열었다. 1980년 동래기영회에 들어갔으며, 한중일 서예문화교류협회 이사를 역임하였고, 1981년 부산서우회 회장에 취임하였다. 1983년 부산서예인협회 고문, 대한민국팔각회[동래구] 이사를 역임하였다. 1984년 고희 기념 서예전을 열었다.

1985년 동래 문화 회관 개관 기념 초대전을 열었다. 1987년 동래 충렬사·안락서원 원장, 1987년 부산광역시 문화재 자료 1호인 반송 삼절사 산장, 1991년 동래 향교 전교로 취임하였다.

1993년 한일서도회 명예 회장, 1993년 재단법인 충렬사 안락서원 이사장에 취임하였다. 1994년 조선 시대 승경도 놀이를 복원하여 보급하였다. 1996년 부산일보사에서 서예가 박명찬 초대전을 열었다. 1998년 1월 10일 동래구 복천동 서재에서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1982년에 『한국서도협회보』에 「흘러간 동래의 서가들」을 기고하는 등 다양한 저술 활동을 하였다. 작품집으로 1997년 『동계 박명찬 서예 전집』[증보판, 대성인쇄소]을 발간하였다. 대표적인 부산 지역의 문화재를 비롯한 각종 역사 유적지에 남긴 글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부산 범일동 자성대 상량문[1960], 동래 부사 충렬공 송공단 비문[1973], 부산대학교 정문 현판[1974], 『충렬사지』 제자(題字)[1978], 동래부 동헌 동익랑 현판[1981], 동래 충렬사 경내 별전 24공신 공적비 비문[1988], 당감동 어모장군단 비문[1992], 동래 유적 정과정 표석문[1993], 동래 문화 유적지 표석문[남문 터·군관청 터·서문 터·망미루 터·동문 터·야문 터·동래부 객사 터·이섭교비·만년대 터·삼성대 터·독진 대아문 터·서천교 터·전차 동래역 터·농주산 터·대낫들이 터·만세거리 등][1993], 경상남도 유형 문화재 제308호 「밀양 12경도」[1996]와 동래 향교 터 제자[1997] 등이 있다.

또한 작품 연대가 확인되지 않은 동래 충렬사 소줄당 임진 기의 토적 공신 공적 기문 현판, 소줄당 안락서원 기문 현판, 소줄당 서원 강당 중수 기념 현판, 충렬사 서의당 현판, 반송 삼절사·반송재·모현관·삼절사 상절문 현판, 반송 삼절사 상량문, 반송 삼절사 중건기, 어린이 대공원,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 석각문 등이 있다.

그 외 동래여자고등학교 일신관 석각문, 경상대학교 일민 도서관, 동명대학교 동명 강석진 동상명서, 대명여자고등학교 현판 석각문, 부산해양대학교 등과 화전재, 동성재, 덕산재, 세덕사 등지에서 박명찬의 글씨 흔적을 찾을 수 있다.

[묘소]

묘소는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두명리 산46번지 백운 공원묘지에 있다.

[상훈과 추모]

1989년 대한민국 청곡 문화상, 1990년 부산서원연합회가 주는 부산 서예가상을 수상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