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7474 |
---|---|
한자 | 古村里東萊鄭氏世居地 |
영어의미역 | Residential Place of Dongrae Jeong Clan in Gochon-ri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고촌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황구 |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고촌리에 있는 동래 정씨 세거지.
[개설]
동래 정씨(東萊鄭氏)는 안일호장이던 정회문(鄭繪文)을 시조로 하고, 보윤호장(甫尹戶長)을 지냈던 정지원(鄭之遠)을 중시조로 기세(起世)한다. 2세(二世)인 정문도(鄭文道)의 묘가 화지산 아래에 있다. 동래 정씨는 41계파로서, 기장 철마 지역 동래 정씨는 전서공파(典書公派), 참의공파, 동지공파로 대별한다.
[명칭 유래]
고촌리의 옛 이름은 돋골이다. 고촌은 돋골의 본 마을, 오래된 마을이라는 의미로 보기도 한다. 또한 마을 앞 화산등(花山嶝)에 진달래꽃이 만발하면 마을 가득 꽃이 핀다고 하여 꽃촌이라 하였다가 후에 고촌으로 변하였다는 설도 있다.
[형성 및 변천]
고촌리 동래 정씨는 전서공파로, 파조는 12세 정규(鄭䂓)[행병부 전서로 호는 운학재(雲壑齋)]이며 청백리로 하사받았다. 전서공파의 철마 고촌리 입향조는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사람인 21세 정득남(鄭得男)이다. 24세 정원주(鄭元周)가 철마면 임기리로 이거하여 25세 정성보(鄭聖輔), 26세 정덕백(鄭德伯), 27세 정문언(鄭文彦), 28세 정학연(鄭學連)·정학인(鄭學寅)·정학윤(鄭學潤) 등으로 이어졌다.
[자연 환경]
고촌리는 북서쪽의 개좌산[451m]과 운봉산[454m]을 중심으로 서쪽으로 산지가 발달하였으며, 북쪽으로도 산지가 형성되어 있다. 북동쪽 산지에서 발원한 고촌천이 서쪽으로 흐르고, 북쪽 산지에서 발원한 소하천이 흘러 고촌천과 합류하여 남쪽에서 석대천에 유입한다. 하천 유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산지에 해당한다.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