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구서동 동래 정씨 세거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7391
한자 久瑞洞東萊鄭氏世居地
영어의미역 Residential Place of Dongrae Jeong Clan in Guseo-dong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 구서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송진모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세거지
가구수 30가구
세거지 구서동 동래 정씨 세거지 -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 구서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에 있는 동래 정씨 세거지.

[개설]

동래 정씨(東萊鄭氏)는 안일 호장이던 정회문(鄭繪文)을 시조로 하고, 보윤 호장(甫尹戶長)을 지냈던 정지원(鄭之遠)을 중시조로 기세(起世)하고 있다. 3세 정목(鄭穆)이 문과를 거쳐 상서 좌복사(尙書左僕射)에 오르고, 그의 네 아들이 모두 문과에 오름으로써 명족이 되기 시작하였다. 고려조에 이미 명족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동래 정씨는 조선조 전 기간에 걸쳐 17명의 상신(相臣)을 내었다. 그 외에 대제학 2명, 호당 6명, 공신 4명, 판서 20여 명과 문과 급제자 198명을 배출하였다.

[명칭 유래]

구서동 에 자리한 구서 마을은 본 마을로서 처음에는 구세리(仇世里)라 불렀다. 전해오는 말에 의하면 이 마을의 구세(仇世)는 ‘구세동거(仇世同居)’에서 따온 말로 중국 당나라의 장공예(張公藝) 9대가 한 집안에서 살았다는 고사에서 집안이 화목한 것을 이르는데, 이곳이 바로 그러한 지역이라 하여 지어진 이름이라 설명한다.

[형성 및 변천]

동래 정씨의 분파는 ‘을미보’ 편찬 때는 교서랑공파, 첨사공파(詹事公派), 대호군공파의 3개 파였다. 교서랑공파는 다시 전서공파, 설학재공파(雪壑齋公派), 문경공파, 참의공파(參議公派), 참판공파로 나누어지고, 첨사공파(詹事公派)는 다시 호군공파, 윤창파, 수찬공파, 직제학공파, 참봉공파, 대호군공파로 나누어진다.

보윤 호장을 지낸 정지원, 안일 호장을 지낸 정문도의 후손은 3세 정목이 과거를 통해 고려 중앙 정부로 진출하게 된 후 계속 과거를 통해 중앙 정계에 나아갔지만. 정선조(鄭先祚)의 후손은 동래에 남아 향리직에 종사하였다. 동래 정씨 구서 문중은 참의공파에 속한다. 참의공파는 12세 참의공 정절(鄭節)을 파조로 한다. 22세 은일공(隱逸公) 정언(鄭彦)이 18세기 초 양산에서 이곳으로 입향하여 집성촌을 이루었다

[자연 환경]

구서동 구서 마을 서쪽에는 금정 산지가 있으며, 이곳 산록에서 발원한 소하천들이 동으로 흘러 온천천에 유입한다. 동의 중심에서 남북으로 흐르는 범어천[온천천]은 이곳에서 구시거렁천이라고도 불린다.

[현황]

1904년에 편찬된 『경상남도 동래군 가호안』에 따르면, 금정구 구서동 구서 마을의 호수는 25호로서 죽산 박씨(竹山朴氏) 7호, 신씨 1호, 동래 정씨 6호, 남평 문씨(南平文氏) 5호, 송씨 2호, 김씨 3호, 이씨 1호가 살았다. 선대의 묘소는 도시 계획 등 시대의 변천으로 옮기기를 거듭하다 1995년 세거지에 구서재(久瑞齋)를 건립하여 입향조 이하 장파(長派) 28세손까지 7대 12위의 위패를 봉안하고 연 1회 제향을 올렸으나 2013년 현재 아파트 단지로 들어가 훼철되었다. 동래 정씨는 12대째, 30가구 정도가 살고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8.04.02 서차 수정 윤창파, 호군공파 -> 호군공파, 윤창파
이용자 의견
정** [형성 및 변천]의 끝부분에서 "첨사공파에 윤창파, 호군공파, 수찬공파, 직제학공파, 참봉공파, 대호군공파, 호장공파로 구분된다."라고 하였는데 윤창파와 호군공파의 서차를 바꾸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오류의 기원은 중앙일보사에서 편낸 <성씨의 고향>이라는 책입니다. 동래정씨 을미보(1655), 병신보(1716), 이후 모든 동래정씨족보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 답변
  • 부산역사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귀하의 소중한 의견을 확인하고 족보 등을 검토하여 해당 서차를 수정하였습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과 이용 부탁드립니다.
2018.03.31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