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7274
한자 機張鄕校風化樓
영어의미역 Punghwaru Pavilion in Gijang Hyanggyo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차성로417번길 35[교리 59]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박재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885년연표보기 - 기장향교 풍화루 중건
개축|증축 시기/일시 1938년연표보기 - 기장향교 풍화루 수리
개축|증축 시기/일시 1975년연표보기 - 기장향교 풍화루 수리 및 단청 작업
개축|증축 시기/일시 1981년연표보기 - 기장향교 풍화루 개축
개축|증축 시기/일시 2001년연표보기 - 기장향교 풍화루 기둥 보수
문화재 지정 일시 2012년 10월 30일연표보기 - 기장향교 풍화루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63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기장향교 풍화루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재지정
현 소재지 기장 향교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차성로 417번길 35[교리 59]지도보기
성격 향교 건축|문루(門樓)
양식 겹처마|팔작지붕|삼익공계|중층 문루
정면칸수 3칸
측면칸수 3칸
소유자 부산광역시 향교재단
관리자 기장 향교
문화재 지정번호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교리에 있는 개항기 기장향교 정면에 세운 중층의 문루.

[변천]

기장향교 풍화루가 언제 창건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으나, 최근에 풍화루에서 발견된 상량문에 1628년(인조 6) 남루(南樓)를 개조한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17세기 초에도 지금의 풍화루에 준한 남루가 기장향교 앞쪽에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때는 남루라고 하다가 후대에 풍화루로 고친 것으로 보인다. 즉, 1855년에 내삼문, 명륜당(明倫堂), 동재·서재, 외삼문, 고사(庫舍) 및 담장을 수리할 때 풍화루도 함께 중건(重建)한 것으로 보인다.

지금의 기장향교 풍화루는 1855년에 중건한 후 1938년 수리를 하고 1975년에 수리 및 단청을 올렸으며, 1981년 또다시 개축하고 2001년에는 기둥을 보수하였다. 이처럼 기장향교 풍화루는 17세기 초에 처음 창건된 후 수차례 개축과 수리를 거쳐 오늘날에 이르고 있는데, 풍화루의 구조 양식과 익공 형식, 짜임 등을 고려하면 지금의 건물은 1855년에 있던 대대적인 기장향교 수리 시 중건된 것으로 보인다.

[형태]

한식 목조 기와집, 정면 3칸, 측면 2칸, 겹처마, 팔작지붕, 삼익공계, 중층 문루 건물이다. 기장향교 풍화루는 19세기 중엽에 지은 장식성이 강한 1출목 이익공식(二翼工式)의 건물로 공포(拱包)는 물론 상부 가구(架構)와 세부까지도 매우 장식적인데, 익공과 상부 가구 및 세부에 나타나는 이러한 장식적인 건축 경향은 조선 말 건축의 특징적인 경향을 잘 보여 준다.

[현황]

기장향교 풍화루는 세심문과 명륜당 사이에 위치하여, 기장 향교로 들어가는 문루 기능을 한다. 2012년 10월 30일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63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기장향교 풍화루는 최근까지 수차례의 크고 작은 수리를 통해 당초 원형이 다소 다르게 바뀐 것으로 보이지만, 과장된 장식적인 경향과 견실한 구조 수법 등 조선 말 건축의 특징적인 경향이 잘 남아 있는 전통 건물로 건축사적 가치가 큰 문화재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