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6703
한자 -理容院
영어의미역 Geumgang Barbershop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사하구 옥천로75번길 42[감천동 12-234]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창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이용원
면적 19.8㎡
전화 051-208-5788
개관|개장 시기/일시 1974년연표보기 - 개업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2년 - 건물 증축
최초 설립지 금강 이용원 - 부산광역시 사하구 옥천로 75번길 42[감천동 12-234]지도보기
현 소재지 금강 이용원 - 부산광역시 사하구 옥천로 75번길 42[감천동 12-234]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에 있는 이용원.

[건립 경위]

강원도에서 이용업에 종사하던 송갑의 내외가 1974년 사하구 감천동으로 이주하여 당시의 고등 이용원을 인수하여 금강 이용원으로 개업하였다.

[변천]

1992년 건물을 증축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구성]

감천 문화 마을의 남쪽, 감천2동 주민센터가 있는 주택가의 1층 건물에 있으며, 19.8㎡의 면적을 사용하고 있다. 이용 공간, 샴푸실, 세탁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을 열고 들어서면, 왼쪽으로 주방 공간, 샴푸실, 그리고 세탁실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입구 맞은편의 벽면부터 오른쪽으로 총 4개의 이용 기구와 거울이 배치되어 있다. 입구 오른쪽에는 손님용 소파가 놓여 있다. 현재 금강 이용원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는 커트, 커트가 포함된 염색과 면도 등이 있으며, 감천동의 노년층에 한해서 커트 비용을 할인해 주고 있다.

[현황]

2013년 현재 사장 내외가 근무하고 있으며, 영업시간은 오전 7시부터 오후 8시까지이고, 매주 화요일이 휴무일이다. 주요 고객은 감천동의 노년층들이 다수를 이루고 있는데, 그들 대다수가 수십 년 단골인 이웃 주민들이다. 1980년대 중반까지 감천동의 인구수는 약 3만 5000명에 이르렀기 때문에 금강 이용원을 찾는 손님들은 청장년층은 물론, 인근의 중·고등학생들로 다양했었다. 개학 하루 전과 예비군 훈련 당일에 특히 분주하였다고 한다. 손님들은 스포츠형과 상고머리를 주로 선호하였다. 특징적인 것은 두발 단속이 심할 때에는 상고머리가 유행하였지만 두발 자유화가 이뤄진 뒤에는 오히려 스포츠형을 선호하는 고객들이 많았다고 한다.

이렇게 호황을 누리던 금강 이용원은 1980년대 후반 퇴폐 이용원에 관한 사회 문제가 언급되면서 남성 고객들이 점차 미용실로 옮겨가게 되었고, 더불어 감천동을 떠나는 사람들이 급증하게 되어 고객들의 수가 점차 줄어들게 되었다. 개업 초기 사용되던 이용 기구 및 관리 방법 등도 변화를 겪었다. 숫돌에 갈던 면도기는 일회용 면도기로 대체되었고, 손을 움직여 사용하던 바리캉은 전기 바리캉으로 대체되었다. 금강 이용원은 1990년대 초반까지 온수를 사용할 수 없어서 연탄불에 데운 물로 손님들의 머리를 감겼다고 한다. 고객들이 사용한 수건도 손빨래에서 세탁기를 이용하는 것으로 변모하였다.

[참고문헌]
  • 인터뷰(금강 이용원 대표 송갑의, 남, 72세, 2013. 3. 16)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