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자랑스러운 시민상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6665
한자 -市民賞
영어의미역 Citizen of Pride Award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제도/상훈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전영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정 시기/일시 1985년연표보기 - 제정
주관 단체 부산광역시청 -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1001[연산동]지도보기
주관 단체 MBC 부산문화방송 - 부산광역시 수영구 감포로 8번길 69[민락동 316-2]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에서 시민의 날을 맞아 시민을 대상으로 수여하는 상.

[제정 경위 및 목적]

‘자랑스러운 시민상’은 1985년 시정 발전, 사회 복지 증진, 사회 도의 앙양 등 지역사회 발전을 위하여 헌신적으로 봉사하거나, 각종 재난 사고와 재해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투철한 희생정신을 발휘한 시민을 발굴하여 사회의 귀감으로 삼고자 제정하였다

[변천]

1985년 제1회 시상을 시작으로 2012년 제28회를 맞이하였으며, 총 172명이 수상하였다. 시상 부문은 1989년까지 희생, 봉사, 독행, 애향 등 4개 부문별 본상, 장려를 시상하였다. 1990년에는 근로 부분을 추가하여 희생, 봉사, 독행, 애향, 근로 등 5개 부문이 되었다. 1993년부터는 대상을 추가하고 희생, 봉사 애향 3개 부문으로 축소하여 시상하고 있으며, 1996년부터는 MBC 부산문화방송부산광역시청이 공동으로 시상하고 있다.

[시상 부문]

시상은 대상, 애향, 봉사, 희생 등 총 4개 부문으로 구분된다. 대상을 제외하고는 각 부분에 본상과 장려가 있다. 시상 기준은 3년 이상 부산 거주자로, 애향 부문은 건전한 시민 정신의 함양과 향토애 결집에 공헌한 자, 봉사 부문은 공공의 안녕과 복리 증진에 기여한 자, 희생 부문은 위기의 상황에서 타인을 구출한 자, 의로운 일을 해낸 용감한 시민 등이다.

수상자에게는 상패와 부상이 수여되며, 부상으로는 시상금 본상 2백만 원, 장려 1백만 원을 지급해 오다가 1993년부터는 대상 5백만 원, 본상 3백만 원, 장려 1백만 원으로 증액하였다. 이후 1997년부터는 시상금을 대상 5백만 원, 본상 3백만 원, 장려 2백만 원으로 조정하여 지급하다가, 2005년부터는 「공직 선거법」의 제정으로 인하여 시상금은 지급하지 않는다.

[역대 수상자]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현황]

추천은 각급 공공 기관 또는 사회단체 등의 명의로 추천이 가능하며, 일반 시민 20명 이상이 추천을 해도 된다. 시상식은 매년 시민의 날인 10월 5일에 열린다.

2012년 제28회 자랑스러운 시민상에는 다음과 같이 선정되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의의와 평가]

자랑스러운 시민상은 희생, 봉사 애향 3개 부문에서 부산광역시를 대표하는 시민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부산 시민의 규범으로 제시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