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5050
한자 釜山國際水産物都賣市場
영어의미역 Busan International Fisheries Wholesale Market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서구 원양로 35[암남동 6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성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시장
면적 111,606㎡[부지]|111,769㎡[연면적]
전화 051-220-8811
홈페이지 부산 국제 수산물 도매 시장(http://fishmarket.busan.go.kr/)
준공 시기/일시 2008년 4월연표보기 - 준공
개관|개장 시기/일시 2008년 9월연표보기 - 개장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5년 6월 - 기본 계획 용역 완료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7년 4월 - 국가 지원 사업으로 확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0년 2월 - 기본 설계 용역 완료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0년 7월 - 대우건설 컨소시엄 선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0년 12월 - 기공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1년 1월 - 착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1년 10월 - 공사 관련 각 행정 절차 완료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3년 11월 - 도매 시장 효율적 관리 운영 방안 용역 완료[부산광역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5년 12월 - 감천항 국제 수산 물류 무역 기지 조성 및 활성화 방안 용역[해양수산부]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8월 - 개장 준비 계획 설명회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10월 - 취급 물량 재검토 및 조사 실시[부산광역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12월 - 개설 준비 위원회 구성 및 운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7년 3월 - 태스크포스팀 발족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7년 4월 - 감천 도매 시장 추진 상황 보고회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7년 8월 - 부산 국제 수산물 도매 시장 운영 관리 계획 수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7년 10월 - 관리 사업소 개설
최초 설립지 부산 국제 수산물 도매 시장 - 부산광역시 서구 원양로 35[암남동 761]지도보기
현 소재지 부산 국제 수산물 도매 시장 - 부산광역시 서구 원양로 35[암남동 76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에 있는 수산물 유통 시장.

[개설]

부산광역시는 수산 잠재력과 가능성을 일깨워 세계적인 해양 수산 도시로 성장하겠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일환으로 감천항에 동북아시아 최대의 국제 수산물 물류 무역 기지를 조성하였고, 2008년 부산 국제 수산물 도매 시장을 개장하였다. 부산 국제 수산물 도매 시장은 국내 최초·최대 규모의 공영 수산물 전문 도매 시장으로, 물류 처리의 자동화, 거래의 전산화 등 현대적 첨단 시설을 갖추고 신속하고 안전한 운영 시스템을 구축하여 물류비용의 감소와 위생적인 처리로 안전한 수산물을 소비지로 공급하고 있다.

[건립 경위]

부산 국제 수산물 도매 시장은 2008년 4월 준공하고 2008년 9월 개장하였다. 건립 목적은 우리나라 최대의 수산물 집산 중심지 기능에 걸맞는 21세기형 국제적 통합 물류 시스템을 확보하고, 동북아시아 수산 물류·무역 중심지로서의 위치를 선점하며, 세계무역기구[WTO] 체제 출범 및 자유 무역 협정[FTA] 체결 등 급변하는 국제 수산물 유통 시장 변화에 대비한 수산물 유통의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였다. 또한 수산물 유통 체계 확립으로 수산물 가격 안정을 도모하고,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부산 국제 수산물 도매 시장의 기본 계획 용역은 1995년 6월 완료되었고, 1997년 4월에 국가 지원 사업으로 확정되어 부지를 확보하였다. 2000년 2월 기본 설계 용역이 완료되고, 2000년 3월에는 실시 설계 시공 일괄 입찰 공고를 하였다. 2000년 7월 대우건설 컨소시엄이 선정되었고, 2000년 12월 국무총리, 해양수산부 장관, 시장 등 2,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기공식을 가졌으며, 2001년 1월 착공하였다. 2001년 10월 비 관리청(非管理廳) 항만 공사 등 공사 관련 행정 절차가 완료되었고, 2003년 11월에는 도매 시장의 효율적 관리 운영 방안 용역이 완료되었다.

2005년 12월 감천항 국제 수산 물류 무역 기지 조성 및 활성화 방안 용역[해양수산부]이 완료되었고, 2006년 7월 기본 준비 계획이 수립되었다. 2006년 8월 서울과 부산에서 개장 준비 계획 설명회를 개최하고, 2006년 10월 부산광역시에 취급 물량 재검토 및 조사를 실시하였다. 2006년 12월 개설 준비 위원회가 구성 및 운영되었으며, 2007년 3월 5명의 태스크포스(Taskforce)팀이 발족하였다. 2007년 4월 시장 주재 아래 91명이 참석한 가운데 감천 도매 시장 추진 상황 보고회를 개최하였으며, 2007년 8월 부산 국제 수산물 도매 시장 운영 관리 계획이 수립되었다. 2007년 10월 관리 사업소가 개설되었다.

[구성]

부산 국제 수산물 도매 시장은 부지 11만 1606㎡에 연면적 11만 1769㎡ 규모이다. 연면적 7만 1587㎡인 도매장동을 비롯하여, 2만 5000M/T의 저장 능력과 동결·저빙·제빙 시설을 갖춘 냉장 냉동 창고동, 시장 회관동, 활어 양육장동, 주차장동 등 7개 건물과 2만 톤급 선박 2척의 동시 접안이 가능한 대형 전용 부두로 이루어져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현황]

부산 국제 수산물 도매 시장부산항, 김해 국제 공항이 인접하여 수송이 용이한 국제적인 수산 유통 및 물류 중심지에 위치하고 있다. 화물차와 승용차의 철저한 동선 분리로 물류 체계의 경쟁력을 확보하였고, 하역·보관 등의 전 과정이 기계화 및 자동화되어 인건비·물류비를 절감하였다. 또한 전자 경매 시스템 도입으로 신속하게 결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종합 보세 구역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세관, 출입국관리사무소,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2013년 3월 정부 조직 개편에 따라 농림축산검역본부로 명칭을 변경하면서 수산물 분야의 업무는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으로 이관되었다] 등 관련 유관 기관이 상주하여 즉각적 통관을 지원하고 있어서 통관 절차가 간소화되고 자유로운 거래가 가능하다.

경매장 내에 별도의 저온 시설이 있어 수산물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고, 신속하고 안전한 운영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세계적 수준의 첨단 시설이 완비되어 있다. 정기적인 수산물 검사, 원산지 표시 지도로 안전한 수산물을 공급하고 있으며, 자체 위생 관리 지침을 수립·시행하여 수산물 품질을 관리하고 있다. 은행·편의점·식당·카페테리아 등 다양한 편의 시설이 갖춰져 있고, 암남 공원과 연결되는 다리, 바다 전망 데크 등의 친수 공간을 조성하여 쾌적하고 편리한 관광 휴양지로서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11년 2503억 원의 위판고를 기록했던 부산 국제 수산물 도매 시장은 2012년 위판고 11만 8000톤, 2007억 원에 그쳤다. 시장 자체를 보면 자본금은 105억 여 원으로 변화가 없다. 매출액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데, 2008년에는 29억여 원이었고, 2011년 현재는 90여억 원이다. 상시 종업원은 34명이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