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905
한자 釜山市機械工業協同組合
영어공식명칭 Busan Machnery Achnery Industry Cooperation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산로 166[다대동 1506-3]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성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산업 단체
전화 051-266-4517
홈페이지 부산시 기계공업협동조합((http://www.pumico.or.kr)
설립 시기/일시 1962년 5월 2일연표보기 - 설립
이전 시기/일시 1992년 9월 25일 - 부산직할시 북구 학장동에서 사하구 신평 2동으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1997년 5월 17일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 2동에서 다대동으로 이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9년 5월 21일 - 상공부장관으로부터 시범 조합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9년 1월 18일 - 학장동 청사 준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2년 10월 - 부산시 중소 기계 협동화 공단 조성 사업을 정규 사업으로 채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0년 7월 26일 - 부산직할시로부터 공단협업화 사업 승인[18만 8000평, 164개 업체 입주]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2년 9월 25일 - 신평동 청사 준공[사하구 신평 2동 647-2, 대지: 2,908㎡, 연건물 면적: 4,186㎡]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6년 6월 30일 - 『부산 기계 조합보』 창간호 발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6년 11월 1일 - 외국어 연수원 개설[일어 및 영어]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7년 2월 27일 -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로부터 우수 조합[단체] 표창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7년 5월 17일 - 현 조합 청사 준공: 사무실 이전[사하구 다대동 1506-3, 대지: 8,440㎡, 연건물 면적 : 3,263㎡]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7년 11월 13일 - 계량 증명업 사업 등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7년 9월 10일 - 자가 보세 장치장 건물 준공[사하구 다대동 1506-3, 창고: 950㎡, 야적장: 1,577㎡]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9년 5월 24일 - 산업자원부 장관 우수[단체] 표창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9년 6월 3일 - 우편물 취급소 개소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0년 3월 6일 - 동명대학 부산 기계 조합 캠퍼스 분교 설치[기계자동화계열학과: 메카트로닉스, CAD/CAM, 정보 처리]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1년 2월 22일 - 제21대 박정호 이사장 취임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2년 4월 24일 - 대한상공회의소 부산인력개발원 기계 조합 분원 설치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2년 7월 8일 - 공동 사업장 공장 건물 준공 700평[300평, 400평]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2년 12월 12일 - 중국 상해시 경공기계행업협회와 자매결연 협약 체결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3년 5월 14일 - 2003 부산 국제 기계 기술 대전(BUTECH 2003) 개최[제1회]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3년 7월 1일 - 부산 기계 산업 전자 상거래 기반 구축 지원 사업 선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3년 8월 - 부산 기계 산업 전자 상거래 기반 구축 정보화 사업 추진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4년 2월 - 제22대 허성앙 이사장 취임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4년 8월 31일 - 부산 기계 산업 정보화지원 센터 개소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5년 5월 25일 - 2005 부산 국제 기계 대전(BUTECH 2005)개최[제2회]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7년 2월 23일 - 23대 이사장 취임[동아정밀공업사 대표 윤병화]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7년 5월 30일 - 2007 부산 국제 기계 대전(BUTECH 2007)개최[제3회]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9년 5월 20일 - 2009 부산 국제 기계대전(BUTECH 2009) 개최[제4회]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2월 23일 - 제24대 이사장 취임 [에스앤더블류 대표 정화섭]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5월 25일 - 2011 부산 국제 기계 대전(BUTECH 2011)개최[제5회]
최초 설립지 부산시 기계공업협동조합 - 부산광역시 북구 학장동 234-1
주소 변경 이력 부산시 기계공업협동조합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 2동 647-2
현 소재지 부산시 기계공업협동조합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산로 166[다대동 1506-3]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기계 공업 관련 협동조합.

[설립 목적]

부산시 기계공업협동조합은 부산 지역 기계 공업의 건전한 발전, 조합원 상호간의 복리 증진, 협동 사업을 통한 경제적 자립과 지위 향상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변천]

1962년 5월 2일 부산시 기계공업협동조합을 창립하였다. 1969년 5월 21일 상공부장관으로부터 시범 조합으로 지정되었다. 1979년 1월 18일 학장동 청사를 준공하였다. 1982년 10월 부산시 중소 기계 협동화 공단 조성 사업을 정규 사업으로 채택하였다. 1990년 7월 26일 부산직할시로부터 공단 협업화 사업 승인을 받았다[약 62만 1487㎡: 18만 8000평, 164개 업체 입주]. 1992년 9월 25일 신평동 청사를 준공하였다[사하구 신평 2동 647-2번지, 대지: 2,908㎡, 연건평: 4,186㎡].

1996년 6월 30일 『부산 기계 조합보』 창간호를 발간하였다. 1996년 11월 1일 외국어 연수원[일어 및 영어]을 개설하였다. 1997년 2월 27일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로부터 우수 조합[단체] 표창을 수상하였다. 1997년 5월 17일 현 조합 청사를 준공하고 사무실을 이전하였다[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1506-3번지, 대지: 8,440㎡, 연건평: 3,263㎡]. 1997년 11월 13일 계량 증명업 사업에 등록하였다. 1997년 9월 10일 자가 보세 장치장 건물을 준공하였다[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1506-3번지, 창고: 950㎡, 야적장: 1,577㎡]. 1999년 5월 24일 산업자원부 장관 표창을 수상하였다. 1999년 6월 3일 우편물 취급소를 개소하였다.

2000년 3월 6일 동명대학 부산기계조합캠퍼스분교를 설치하였다[기계자동화계열학과: 메카트로닉스, CAD/CAM, 정보 처리]. 2002년 4월 24일 대한상공회의소 부산인력개발원 기계 조합 분원을 설치하였다. 7월 8일 공동 사업장 공장 건물을 준공하였다. 12월 12일 중국 상해시 경공기계행업협회와 자매결연 협약을 체결하였다. 2003년 5월 14일 2003 부산 국제 기계 기술 대전(BUTECH 2003)을 개최하였다[제1회]. 2003년 7월 부산 기계 산업 전자 상거래 기반 구축 지원 사업에 선정되었다. 2003년 8월부터 2004년 8월까지 부산 기계 산업 전자 상거래 기반 구축 정보화 사업을 추진하였다.

2004년 8월 31일 부산기계산업정보화지원센터를 개소하였다. 2005년 5월 25일 2005 부산 국제 기계 대전[제2회], 2007년 5월 30일 2007 부산 국제 기계 대전[제3회], 2009년 5월 20일 2009 부산 국제 기계 대전[제4회], 2011년 5월 25일 2011 부산 국제 기계 대전[제5회] 등을 각각 개최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부산시 기계공업협동조합의 주요 사업으로는 첫째, 인력 구조 고도화 사업이 있다. 조합원 업체 필요 인재를 확보하고 재직자에 대한 교육 훈련 및 인력 관리 기법선을 지원하여 고부가 가치 창출이 가능한 구조로 개선을 위하여 부산대학교 대학원에 석사 과정을 개설 운영하고 있으며, 또한 조합 청사 내 멀티미디어 교육장을 설치하여 중소기업 재직자를 대상으로 현장 방문 교육 및 기업 주문식 현장 방문 기술 지도 등을 실시하고 있다.

둘째, 인력 채용 패키지 사업이 있다. 미취업자 대상으로 조합원사의 미충원 일자리로 취업을 유도하여 중소기업 인력난 완화 도모 및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실무 지식을 습득하게 하여 경력 형성과 중소기업 취업 기회를 제공하여 취업 능력의 질적 향상 및 정규직 취업률을 제고하고 있다.

셋째, 외국어 연수 교육 사업이 있다. 조합원 업체 임직원의 국제화 시대에 부응하기 위하여 1996년부터 조합 청사 내 외국어 연수실을 설치하여 영어, 일어, 중국어 연수 교육[연 8개월 교육]을 연중 내 실시하고 있으며, 교육 시간은 아침 7시~8시까지[1시간], 월요일~금요일까지 실시하고 있다. 넷째, 정보화 연수 교육 사업이 있다. 조합원 업체 임직원의 정보화 자질 향상을 위하여 조합 청사 내에 최신형 컴퓨터 40대를 설치하여 정보화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다섯째, 대한상공회의소 부산인력개발원 기계 조합 분원을 설치하였다. 조합원 업체 재직 근로자의 자질 향상 교육과 신규 인력 양성 교육을 위하여 2001년 6월 부산인력개발원과 컨소시엄을 협약 체결하여 조합 청사 내에 기계 조합 분원을 설치하여 업체의 주문식 교육과 맞춤식 교육을 무료로 실시하고 있다[교육 과정: 정보화 교육, CNC 선반, MCT, CAD/CAM, PLC, 유공압 교육 등].

여섯째, 우편 취급소 설치 운영 사업이 있다. 공단 내 업체들의 각종 우편물 발송으로 인한 인력 손실과 경비 절감 지원을 위하여 1999년 부산 체신청의 인가를 받아 기계 조합 우편 취급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취급 업무는 국내외 등기, 소포, EMS, 체신 보험 등이다.

일곱째, 부산 국제 기계 대전 전시회 사업이 있다. 2003년 제1회, 2005년 제2회, 2007년 제3회, 2009년 제4회 부산 국제 기계 대전을 개최하였다. 2011년 5월 25일~5월 29일까지[5일간] 벡스코(BEXCO)[부산 전시 컨벤션 센터]에서 25개국 400업체 1,500부스로 국내 최대 규모의 국제적인 전시회를 개최하였다.

여덟째, 협동화 공업 단지 조성 사업이 있다. 부산 지역의 기계 공업 발전과 지역 중소 제조업체 및 조합원 업체의 공장 용지난 해소를 위하여 강서구 화전 일반 산업 단지에 ‘기계 공업 협동화 단지’를 조성·추진하고 있다. 분양 면적은 총 약 66만 1157㎡[20만 평]로 98개 업체가 분양 완료되어 조성 공사가 진행되었고, 2009년부터 건축공사를 시작하여 2010년 상반기부터 입주를 시작하고 있다. 아홉째, 기타 사업으로 회관 임대 사업, 계량 증명 사업, 해외 시장 개척단 파견 및 수출 상담회 개최 사업 등이 있다.

[현황]

부산시 기계공업협동조합의 조직은 총회 아래 감사, 이사장, 이사회가 있고, 이사장 아래 상무 이사가 있으며, 그 아래 사업부와 지원부가 있다. 사업부에서 공동 판매 사업, 공동 사업, 전시회 사업을 하며 지원부에서 경리, 서무, 물류 창고 보관업, 청사 관리 등을 하고 있다. 임원으로 이사장 1명, 상무 이사 1명, 이사 10명, 감사 2명, 고문 6명이 있다. 2013년 현재 456개 업체가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다. 자본금은 2004년 이후 2013년까지 18억 3600만 원이다. 매출액은 몇 개년도 자료만 있는데 2004년에는 9억 5300만 원, 2005년에는 12억 2900만 원이다. 상시 종업원 수는 7명이다.

[의의와 평가]

부산시 기계공업협동조합은 부산 지역 기계 공업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단체로서 협동화 공업 단지 조성 사업을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하였다. 1982년부터 추진되어 20년이 지난 2002년에 완공되었다. 부산 국제 기계 기술 대전을 주관하고 있고, 부산 기계 산업 전자 상거래 기반 구축 지원 사업에 선정되어 전자 상거래 기반 구축 정보화 센터도 개설하였다. 최근에는 각종의 인력 양성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또 협동화 공업 단지의 조성과 함께 협동화 단지 안에 공동기술연구소를 설치, 공동 노력을 통해 중소 기계 업체의 기술력 향상을 모색하고 있다. 10억 원의 조성 기금과 참여 업체의 출연금으로 메카트로닉스 분야 등 첨단 산업과 접목할 수 있는 기계 기술 분야를 연구할 예정이다.

기계 산업은 모든 산업의 발전에 반드시 수반되어야 하는 부문이며, 부산광역시가 선정한 미래 전략 10대 산업의 하나이다. 그간 부산 지역의 기계 산업은 영세성과 분산성으로 인해 경쟁력의 향상에 어려움이 있었다. 부산시 기계공업협동조합을 중심으로 집적과 공동 연구 개발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기를 기대해 본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