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777
한자 -大韓通運釜山-
영어공식명칭 CJ korea express Co., Ltd. Busan Container Terminal
이칭/별칭 CJ KBCT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남구 신선로 294[용당동 123]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장지용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화물 취급업체
설립자 이성곤
전화 051-620-0200
홈페이지 씨제이대한통운 부산컨테이너터미널(http://www.kbct.co.kr)
설립 시기/일시 1990년 6월연표보기 - 동부산컨테이너터미널로 설립
개칭 시기/일시 1996년 10월연표보기 - 동부산컨테이너터미널에서 신선대컨테이너터미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2009년 6월연표보기 - 신선대컨테이너터미널에서 대한통운 부산컨테이너터미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2012년 2월연표보기 - 대한통운 부산컨테이너터미널에서 씨제이대한통운 부산컨테이너터미널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5년 12월 - 신선대 부두 착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1년 6월 - 신선대 부두 운영 개시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5년 5월 - 4번 추가 선석 착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5년 9월 - 철도 운송 운영 개시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7년 11월 - 추가 선석[4번 선석] 운영 개시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9년 1월 - OOCL On-Dock 서비스 이용 계약 체결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9년 12월 - APL On-Dock 서비스 이용 계약 체결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3년 9월 - 컨테이너 처리 1500만 TEU 달성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4년 12월 - Samuder Shipping LIne On-Dock 서비스 이용 계약 체결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5년 10월 - ATC 운영 개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5년 11월 - Maersk Line On-Dock 서비스 이용 계약 체결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1월 - NYK On-Dock 서비스 이용 계약 체결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2월 - 추가 선석 운영 개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3월 - 컨테이너 처리 2000만 TEU 달성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7년 11월 - ‘K’-Line On-Dock 서비스 이용 계약 체결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4월 - CCL On-Dock 서비스 이용 계약 체결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6월 - 컨테이너 처리 2500만 TEU 달성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9월 - FESCO On-Dock 서비스 이용 계약 체결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9월 - 흥아해운 On-Dock 서비스 이용 계약 체결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10월 - 현대상선 On-Dock 서비스 이용 계약 체결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9년 1월 - 5번 선석 배후 CY 완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9년 1월 - 남성해운 On-Dock 서비스 이용 계약 체결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9년 1월 - Hamburg Sud On-Dock 서비스 이용 계약 체결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9년 1월 - Emirates Shipping On-Dock 서비스 이용 계약 체결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9년 2월 - 2008년도 최우수 터미널로 선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9년 3월 - ZIM Line On-Dock 서비스 이용 계약 체결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3월 - China Shipping On-Dock 서비스 이용 계약 체결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2년 2월 - United Shipping On-Dock 서비스 이용 계약 체결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3년 8월 - Shanghal Inchon Inte On-Dock 서비스 이용 계약 체결
최초 설립지 동부산컨테이너터미널 - 부산광역시 남구 신선로 294[용당동 123]지도보기
현 소재지 씨제이대한통운 부산컨테이너터미널 - 부산광역시 남구 신선로 294[용당동 123]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용당동에 있는 화물 운송업체.

[설립 목적]

씨제이대한통운 부산컨테이너터미널은 컨테이너와 이와 관련된 화물의 하역, 보관, 운송 및 조작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변천]

1985년 12월 신선대 부두가 착공된 이후, 1990년 6월에 부산광역시 남구 용당동에서 동부산컨테이너터미널로 설립되었다. 1991년 6월에 신선대 부두 운영을 개시하였으며, 1995년 5월에 4번 추가 선석(船席)을 착공하였다. 같은 해 9월에 철도 운송 운영을 개시하였다. 1996년 10월에 신선대컨테이너터미널로 개칭하였고, 1997년 11월에 추가 선석[4번 선석] 운영을 개시하였다. 1999년 1월에 OOCL[Orient Overseas Container Line Ltd., 홍콩 선사] On-Dock 서비스 이용 계약을 체결하였다. 같은 해 12월에는 APL[American President Lines Ltd., 싱가포르 선사] On-Dock 서비스 이용 계약을 체결하였다.

2003년 9월에 컨테이너 처리 1500만 TEU[Twenty-foot equivalent units, 20피트 컨테이너 박스 1개 단위]를 달성하였다. 2004년 12월에는 Samuder Shipping LIne[인도네시아 선사] On-Dock 서비스 이용 계약을 체결하였다. 2005년 10월에 ATC[Automated Transfer Crane] 운영을 개시하였고, 그해 11월에 Maersk Line[덴마크 선사] On-Dock 서비스 이용 계약을 체결하였다. 2006년 1월에는 NYK[Nippon Yusen Kaisha, 일본 선사] On-Dock 서비스 이용 계약을 체결하였다. 같은 해 2월에 추가 선석[5번 선석] 운영을 개시하였고, 그해 3월에는 컨테이너 처리 2000만 TEU를 달성하였다.

2007년 11월에 ‘K’-Line[Kawasaki Kisen Kaisha, 일본 선사] On-Dock 서비스 이용 계약을 체결하였다. 2008년 4월에는 CCL[China Container Line Ltd., 중국 선사] On-Dock 서비스 이용 계약을 체결하였다. 2008년 6월에 컨테이너 처리 2500만 TEU를 달성하였다. 그해 9월에는 FESCO[Far Eastern Shipping Company, 러시아 선사] 및 흥아해운 On-Dock 서비스 이용 계약을 체결하였다. 같은 해 10월에는 현대상선 On-Dock 서비스 이용 계약을 체결하였다.

2009년 1월에 5번 선석 배후 CY[Container yard, 컨테이너 야적장]를 완공하였다. 동년 동월에 남성해운과 Hamburg Sud[독일 선사], Emirates Shipping[아랍에미레이트 선사] On-Dock 서비스 이용 계약을 체결하였다. 그해 2월에 2008년도 최우수 터미널로 선정되었다[부산항만공사]. 같은 해 3월에 ZIM Line[Zim Integrated Shipping Services, 이스라엘 선사] On-Dock 서비스 이용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그해 6월에 대한통운 부산컨테이너터미널로 개칭하였다.

2010년 3월에 China Shipping[중국 선사] On-Dock 서비스 이용 계약을 체결하였다. 2012년 2월에 씨제이대한통운 부산컨테이너터미널로 개칭하였고, 동년 동월에 United Shipping On-Dock 서비스 이용 계약을 체결하였다. 2013년 8월에는 Shanghal Inchon Inte On-Dock 서비스 이용 계약을 체결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씨제이대한통운 부산컨테이너터미널은 주요 사업으로 첫째, 컨테이너 양적하를 한다. 선박의 대형화 추세에 대응하여 구장비를 교체하고 대형 크레인을 도입하여 안전하고 신속한 작업을 진행한다. 둘째, On-Dock 서비스를 제공한다. CY를 활용하여 터미널 내에서의 하역 통관 검사 등을 일괄 수행하는 서비스를 제공해 물류비 절감이 가능하다. 셋째, CFS[Container Freight Station, 컨테이너 화물 조작장]를 운영한다. 조작장 4만 2337㎡와 창고 1만 33㎡를 통해 연간 90만 톤 정도의 적출입 작업을 한다. 넷째, 냉동 장치장을 운영하며, 다섯째, 철도 운송 시설을 확보·운영한다. 여섯째, 공차 주선 서비스를 제공하여 화주와 운송사[개인 사업자 포함]를 연결한다.

[현황]

2012년 12월 현재 씨제이대한통운 부산컨테이너터미널의 자본금은 65억 원이고, 매출액은 988억 9100만 원이다. 상시 종업원 수는 518명이다. 조직은 대표 이사 아래 컨테이너 영업부와 운영 본부로 구성되어 있다. 컨테이너 영업부에는 영업팀이 있고, 운영 본부에는 운영 계획팀과 운영팀, IT 운영팀, 운영 정비팀, 관리 지원팀이 있다.

[의의와 평가]

씨제이대한통운 부산컨테이너터미널은 국제적 규모의 시설 및 하역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부산 지역의 업체이다. 안벽 증심 준설, 컨테이너 장치장 확장 및 무인 자동화 야드 크레인[ATC]과 같은 각종 첨단 하역 장비를 도입하는 등 다각도의 개발을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참고문헌]
  •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
  • 부산인적자원개발원(http://bhrdi.or.kr)
  • 씨제이대한통운 부산컨테이너터미널(http://www.kbct.co.kr)
  • 코참비즈(http://www.korchambiz.net)
  • MK 기업 정보(http://cominfo.mk.c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