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4477 |
---|---|
한자 | 釜山海關敷地埋築工事 |
영어의미역 | Busan Haegwan Reclamation Project |
분야 | 역사/근현대,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
지역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정이근 |
[정의]
1887~1908년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에 있던 부산해관 앞바다를 매축한 공사.
[개설]
개항 이후 교역의 확대로 부산해관 부지의 확대가 필요하였다. 이에 따라 당시 해관장인 하문덕(何文德)[Robert Hart, 영국인]의 주도로 부산해관 부지 매축 공사(釜山海關敷地埋築工事)가 진행되었다.
[역사적 배경]
1883년 6월 재조선국 일본 인민 통상 장정(在朝鮮國日本人民通商章程)의 체결로 1883년 10월 3일 부산해관(釜山海關)[1907년 부산세관으로 개칭]이 개설되었다. 부산해관이 개설된 당시 부산 항만의 설비 시설로는 일본 전관 거류지 동쪽 용미산[옛 부산시청 자리, 현 부산 롯데 월드 예정지] 아래 약 2만 3140㎡[7,000평]의 선류장(船留場)이 있었다. 무역의 발달에 따라 소형 선박의 정박에 이용되는 선류장이 아니라 대형 선박이 정박할 수 있는 항만이 필요하였고, 이에 따라 부산해관 북쪽 해안의 매립 공사가 시행되었다.
[경과]
부산해관 부지 매축 공사는 세관 업무의 주도권을 잡고 있던 이홍장(李鴻章)[중국 청나라 정치가]이 추천한 하문덕이 부산해관장으로 부임되면서부터 본격화되었다. 1887년 조선 정부로부터 현재 중구 중앙동의 부산 데파트 앞바다인 부산해관 부지 매립 허가와 공사비 1,000냥을 받았다. 이후 청나라 기술자를 초빙하여 설계한 뒤 공사를 착공하였다. 1888년 4월 29일 완공하였다.
[결과]
매축된 자리에는 1889년 10월 구 한국 정부로부터 교부받은 공사비 2,546냥으로 해관 잔교(海關棧橋)와 보세 창고가 세워졌다. 부산해관 부지 매축 공사는 이후에도 진행되었다. 1902년 부산매축주식회사가 기존의 선류장에서 구 부산 본역[현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교보 빌딩과 무역 빌딩 근처]에 이르는 곳까지 매축하여, 1908년 8월 총면적 약 13만 5777㎡[4만 1375평]의 매축을 완료하였다.
[의의와 평가]
부산해관 부지 매축 공사는 구 한국 정부가 공사비를 제공한 국내 사업으로 부산 지역의 바다 매립 중 체계적으로 인공 매축한 최초의 공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