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4361 |
---|---|
한자 | 就業支援政策 |
영어의미역 | Support System for Recruitment |
분야 |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최진영 |
[정의]
부산광역시가 시행하는 구직자 취업 지원 정책.
[개설]
부산광역시의 취업 지원 정책은 일자리 창출과 함께 청·장년층을 포함한 시민의 취업난을 해소하기 위해 지원하는 각종 정보 서비스와 단기 취업 알선 및 인턴 사업, 재취업을 위한 교육 훈련 과정 등의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3년 현재, 부산청년일자리센터와 부산강소기업DB 등의 청년 취업 지원 사이트에서 청년 취업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시청의 일자리 종합 센터를 비롯한 구·군청의 취업 정보 센터 등 각종 취업 알선 기관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중소기업 청년 인턴 사업, 청·장년 실업 해소 맞춤 훈련 사업, 해외 인턴 취업 지원 사업, 취업 연수생 고용 사업 등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중소기업 청년 인턴 사업]
중소기업 청년 인턴 사업은 부산 지역의 미취업 청년들에게 지역 기업에서의 인턴 기회를 제공하여 정규직으로의 취업 가능성을 높이고 청년 실업을 해소하기 위한 사업으로, 중소기업의 인력난 완화와 함께 인건비를 지원하여 중소기업의 경영에도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사업이다.
만 15세~29세[군필자 만 35세]로서 부산에 주소를 둔 미취업자를 대상으로 하며, 기업은 부산 소재의 상시 근로자 5명 이상 사업장으로 고용 보험법상 우선 지원 대상 기업으로 한다. 일자리를 연결하여 인턴으로 3개월 근무 후 정규직 전환을 목표로 한다. 인턴 급여로 3개월간 월 100만 원을 지원하여 급여를 140만 원 이상으로 보장[기업 40만 원 이상]할 수 있도록 하며 정규직 전환 이후에도 3개월간 100만 원을 지원한다. 또한, 정규직 전환 이후 고용을 유지하는 우수 기업에 대해 고용 유지 장려금을 1인당 100만 원씩 지원하고 있다.
[청·장년 실업 해소 맞춤 훈련 사업]
청·장년 실업 해소 맞춤 훈련 사업은 청·장년 실업 해소 대책 방안으로 산업체에 필요한 전문 인력을 공급하는 직업 훈련 기관을 지정하고 훈련 기관과 산업체간 약정을 체결하도록 하여, 맞춤식으로 교육한 후 취업을 알선함으로써 실업 해소 및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는 사업이다. 훈련 직종은 정보 통신[IT]·서비스·기계 장비·산업 응용·공예·의료 등의 취업이 용이한 직종과 항만·물류, 조선 기자재 등의 부산광역시 10대 전략 산업 관련 직종을 대상으로 한다. 2011년 한 해 동안 1,708명의 구직자가 훈련에 참가하여 217명이 중도포기하고 1,491명이 수료하였으며, 이중 82%인 1,219명이 취업하였다.
[해외 인턴 취업 지원 사업]
해외 인턴 취업 지원 사업은 인턴사원의 해외 현지 기업체 취업 지원을 통한 청년층 고학력자 실업 해소를 위해 마련한 사업으로, 지원 대상은 부산 지역 거주자[주민 등록 상]로 부산 소재 대학[교] 졸업 예정자나 졸업 후 2년 이내인 자이며, 대상 국가는 아시아권과 미주, 유럽 등 구인 기업체가 소재하는 국가이다. 부산광역시는 참여 대학을 통하여 왕복 항공료, 3개월간의 체재비 등의 인턴 비용을 지원하고 있다. 2010년 579명, 2011년 600명, 2012년 500명 등을 대상으로 매년 24억 2600만 원의 예산을 지원하고 있으며, 2011년 취업률은 65%를 달성하였다.
[취업 연수생 고용 사업]
취업 연수생 고용 사업은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청년 미취업자에게 취업 의지와 능력을 상실하지 않도록 공공 부문 연수 기회를 통해 취업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대상은 만 29세 이하의 고졸 이상 미취업자로, 부산에 주소를 둔 구직자이며, 선발 순위는 최근 졸업자, 부산광역시 및 정부 일자리 사업 미경험자[단기 경험자], 취약 계층 등을 우선으로 한다. 2009년 330명에 13억 원, 2010년 182명에 7억 3000만 원, 2011년 404명에 13억 원 등을 지원하였으며, 2009년 53명, 2010년 41명, 2011년 102명이 각각 취업에 성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