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4360 |
---|---|
한자 | 畜産政策 |
영어의미역 | Livestock Industry Policies |
분야 |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최진영 |
[정의]
부산광역시가 추진하고 있는 축산업 육성·관리 정책.
[부산광역시 축산업 현황]
축산물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부산광역시는 도시권의 확장에 따른 도시 환경의 유지·관리 차원에서 가축 사육을 제한·억제하지 않을 수 없어 주택지 인근 또는 수원 보호 구역, 수영만 상류 지역 내의 가축 사육장을 점차 이전 또는 폐쇄토록 유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부산광역시 강서구 및 기장군 지역을 제외한 도심 지역에서는 사육 농가가 감소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가축 사육이 가능한 근교 농촌 지역의 축산업을 육성하여 억제와 장려를 조화롭게 병행 추진하고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사료 생산 및 품질 관리]
육류 소비 및 수요의 증가에 따라 국내 축산업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사료 수요량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축산업의 근간이 되는 사료 제조업이 국가 중요 산업으로 성장하여 안정된 수급과 저질품 유통 방지에 역점을 두고 있다. 2011년 한 해 동안 부산 지역에서 배합 사료 15만 6843톤[전국 수요량의 1.0%], 단미[보조]사료 14만 8689톤[전국 수요량의 7.6%] 등을 각각 생산하였다. 그리고 배합 사료 생산업체 49개, 단미 사료 생산업체 47개 등 총 96개 업체에 대해 사료 품질 검사를 실시하여 5개 업체를 적발, 영업 정지[1개 업소] 처분과 함께 과징금을 부과하였다.
[가축 품종 개량]
가축의 품종 개량을 통한 단위 생산 능력 향상을 위하여 소를 중심으로 우량 종축에서 생산된 정액을 사용한 인공 수정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11년 한 해 동안 한우 500두, 유우[젖소] 30두 등 총 530두의 소를 인공 수정하였다. 또한 양계 농가를 보호 육성하기 위하여 1개소의 부화장을 지도·운영하고 있으며, 우량 종계에서 생산된 육용계 300만 수를 부화시켜 시내 양계 농가와 인근 경상남도 지방에 공급하고 있다.
[사육장 정비]
쾌적한 도시 환경 조성과 시민 건강 향상을 위하여 생활 환경에 저해되는 가축 사육장의 폐쇄 또는 인근 경상남도 농촌 지역으로의 이전을 장려하고 있으며, 부산 지역 내에서 존속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사육장에 대해서는 정화 시설을 갖추어 가축을 사육하도록 적극 지도하고 있다.
[방역 및 위생 관리]
2010~2011년 구제역이 전국적인 규모로 발생함에 따라, 2012년부터는 상시 구제역 예방 접종을 실시하고 있다. 우결핵은 감염소와 접촉 시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으므로, 젖소에 대한 검진을 강화하여 양성 반응 시 살처분하고 있다. 탄저기종저, 일본 뇌염, 돼지 열병, 광견병, 오제스키병, 유방염 등 각종 질병에 대한 방역·방제와 혈청 검사 사업 등의 축산업 관리를 통한 공중 보건 향상에도 중점을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