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4350 |
---|---|
한자 | 十大戰略産業育成施策 |
영어의미역 | Project for Promoting 10 Strategic Industries |
분야 |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최진영 |
[정의]
부산광역시가 지역 산업 진흥 계획에 입각하여 추진하는 전략 산업 육성 정책.
[지역 전략 산업 육성 정책]
1998년 ‘동아시아 금융 위기’ 이후 다양한 공간적·사회적 불균등이 심화되고, 국가의 주력 산업들이었던 의류, 섬유, 신발, 기계 산업 등이 지역적 차원에서 심각한 침체 국면을 맞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는 우선적으로 대구, 부산, 경상남도, 광주 등 4개 지역의 산업 경쟁력을 활성화하고자 1999년부터 예산을 지원하기 시작하였으며, 2002년부터는 수도권을 제외한 9개 지역에 예산을 지원하여 본격적으로 지역 전략 산업 육성 정책을 실시하게 되었다. 전략 산업은 2002년부터 2003년에 이르는 동안 체계화기를 거쳐 2004년부터 2008년까지 확산기로 진행되어 왔고, 이명박(李明博) 정부 이후 지역 전략 산업은 광역 선도 전략 산업과 시도 특화[지역 전략] 산업으로 이원화되면서 지역 전략 산업 예산의 일부가 광역 선도 전략 산업으로 이관되었다.
[부산의 전략 산업 육성 시책]
부산광역시의 전략 산업 육성 시책은 전통적인 노동 집약적 산업 구조에서 기술 집약형 성장 산업으로 부산의 산업 구조를 조정하지 못했던 과거의 사례를 거울삼아, 1996년 성장 관리 도시에서의 탈피를 계기로 기업입지 여건을 개선함과 동시에 지역의 전략 산업을 선정·육성하여 산업 구조를 조정 및 고도화하고 지역 경제의 견인차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수립되었다. 21세기 부산 지역 경제를 주도하는 성장 동력 산업을 전략 산업으로 선정하여 지역 혁신 역량을 극대화하고, 지역 경제의 내생적 발전 구조를 정착시키며, 글로벌 체제에서 지역의 잠재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육성하는 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부산광역시의 전략 산업 육성 전략]
부산광역시는 ‘동북아 시대 지식 기반 첨단 기술과 비즈니스의 허브 도시’라는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기능적·공간적 특성화 및 연계를 통한 거점화, 융복합화를 통한 구조 고도화 및 고부가 가치화, 지식 기반 창의적 핵심 인재 육성 및 명품 정주 여건 조성 등의 추진 전략을 수립하였다. 그리고 21세기 부산 경제를 선도하는 성장 엔진 창출, 지속 성장 가능한 지역 산업 경쟁력 확보, 동남 광역 경제권의 중추 관리 도시 등의 목표 달성 계획도 수립하였다.
[10대 전략 산업의 변화]
1999년 1단계 부산의 10대 전략 산업[~2003년]은 부산발전연구원의 연구에 의해 성장 유망 산업 5개[항만·물류, 관광, 소프트웨어, 금융, 영상]와 구조 고도화 산업 5개[자동차 부품, 조선 기자재, 신발, 섬유·패션, 수산·가공]가 선정되었다. 2004년 2단계 부산의 10대 전략 산업[~2008년]은 제1차 지역 혁신 발전 계획 수립과 동시에 부산발전연구원의 연구에 의해, 핵심 전략 산업 4개[항만·물류, 기계 부품 소재, 관광 컨벤션, 영상·IT]와 지역 전략 산업 6개[선물·금융, 해양 바이오, 실버, 신발, 수산·가공, 섬유·패션]가 선정되었다. 2009년 3단계 부산의 10대 전략 산업[~2013년]은 부산테크노파크 전략산업기획단에 의해 2단계 전략 산업과 부산의 차세대 성장 동력 산업, 정부의 신성장 동력 산업 등을 고려해 핵심 전략 산업 4개와 미래 전략 산업 6개가 선정되었다.
[부산의 3단계 10대 전략 산업]
부산의 3단계 10대 전략 산업의 핵심 전략 산업에는 해양[항만·물류, 해양 바이오, 수산·가공], 기계 부품 소재[기계, 자동차, 조선, 해양 시스템], 관광 컨벤션[관광, 컨벤션[MICE]], 영상·IT[영상, 콘텐츠, IT, 스마트 부품[지능형 로봇]] 산업 등이 포함되었고, 미래 전략 산업에는 금융[해양 금융, 파생 금융, 금융 백오피스], 고령 친화[고령 친화 기기 및 용품, 장수 의학, 평생 교육], 의료[의료 기기, 의료 서비스, 의료 R&D, 신약, 의료 관광], 생활 소재[신발 소재, 섬유 소재, 고분자·나노 소재], 디자인[산업 디자인, 패션 디자인, 공공 디자인], 그린 에너지[신에너지, 재생 에너지, 친환경 기술] 산업 등이 포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