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송상현 광장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336
한자 宋象賢廣場
영어의미역 Song Sanghyeon Plaza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진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2년 11월 1일 - 송상현 광장 이름 확정[부산광역시 시정조정위원회]
개관|개장 시기/일시 2014년 6월 12일연표보기 - 개장

[정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 일대에 조성된 광장.

[건립 경위]

중앙로는 부산광역시의 중심지인 광복로에서 서면을 거쳐 연산동에 이르는 부산광역시의 주 교통축으로, 삼전 교차로~송공 삼거리에 이르는 중앙로 구간은 전포로, 거제로와 연결되는 교통으로 인하여 주요 시간에 도로 및 교차로의 지·정체가 심각한 상태이다. 이러한 현실적 교통 문제의 극복과 함께 친환경적인 도시 환경의 창출과 보행 중심의 공간 구축을 위해 조성되었다.

[구성]

송상현 광장은 삼전 교차로 쪽의 문화 마당, 가운데의 다이나믹 부산 마당, 송공 삼거리 쪽의 역사 마당으로 이루어져 있다. 문화 마당은 공연 및 이벤트 공간으로 10.070㎡의 면적에 야외 공연, 카페 등 시민이 이용하는 편의 시설을 제공하는 선큰 광장, 잔디 스탠드, 편의 및 판매 시설이 있다. 다이나믹 부산 마당은 시민의 동적 활동 공간으로 15,750㎡의 면적에 거리 응원, 시민 행사, 축제 등을 위한 활동 공간으로, 잔디 광장, 포장 광장, 실개천, 산책로가 있다. 역사 마당은 역사 체험 및 기념 공간으로 8,920㎡의 면적에 송상현 동래 부사, 모너머 고개 등의 다양한 역사성을 체험할 수 있는 송상현 동상 기념 광장, 역사의 숲, 고지도 바닥분수 등이 조성되어 있다.

[현황]

송상현 광장의 조성으로 중앙로는 원활한 교통 시스템을 구축하여 부산의 주 교통축으로서의 공공·상징적인 위상을 확보할 수 있다. 송상현 광장은 부산광역시의 상징성과 차별성을 지향하는 시민 중심의 보행 광장으로 보행 네트워크를 활성화하는 부산의 새로운 문화 관광 체계로 구축되어 시민의 휴식과 참여 및 만남의 장소이자, 부산을 대표하는 문화 관광 브랜드, 랜드마크가 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