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공무원 평가 제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314
한자 公務員評價制度
영어의미역 Public Servant Evaluation System
이칭/별칭 공무원 평정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노승조

[정의]

부산광역시에서 근무하고 있는 공무원에 대한 평가 제도.

[부산광역시 공무원 현황]

2012년 현재, 부산광역시에서 근무하고 있는 공무원은 총 1만 6332명으로, 국가 공무원 4명[시청 2명, 소방본부 2명]을 제외한 1만 6328명 모두가 지방 공무원[시장, 구청장 등 선출된 지방 자치 단체장 17명은 정무직 지방 공무원]이다. 시청에 2,220명, 시 직할 사업소에 1,981명, 소방본부에 2,551명, 구·군청에 7,531명, 읍·면·동에 2,049명 등이 근무하고 있다.

[공무원 평정과 시기]

공무원의 승진 등의 인사 행정에 공정성을 기하고, 근무 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근무 성적, 경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공무원 평정이라고 한다. 「지방 공무원 평정 규칙」[안전행정부령]에 따른 지방 공무원의 평정은 4급 이상의 공무원과 5급 이하의 공무원으로 구별하여 실시되며, 4급 이상 공무원은 ‘성과 계약 등의 평가’로, 5급 이하 공무원은 ‘근무 성적 평정’과 ‘경력 평정’ 등으로 실시된다. 성과 계약 등의 평가는 매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실시한다. 근무 성적 평정과 경력 평정은 매년 6월 30일과 12월 31일을 기준으로 2회의 정기 평정으로 실시하며, 승진 후보자 명부에서 조정 사유가 발생하면 추가적으로 수시 평정이 실시되기도 한다.

[공무원 평정 방법]

4급 이상 공무원은 매년 2월 말까지 임용권자와 성과 계약을 체결하고, 연구관과 지도관은 매년 2월 말까지 임용권자에게 연간 수행할 성과 목표를 제시하여 설정한다. ‘성과 계약 등의 평가’는 성과 계약과 성과 목표에 대한 달성도를 평가하며, 목표의 중요도와 난이도 등을 고려하여 평정점이 산정된다.

5급 이하의 일반직 및 기능직 공무원, 연구사 및 지도사 등은 근무 성적 평정을 받는다. 평정자는 평정 대상 공무원의 성과를 관찰할 수 있는 상급·상위 감독자이고 확인자는 평정자의 상급·상위 감독자 중에서 지정된다. 평가 항목은 근무 실적 및 직무 수행 능력을 기본 항목으로 하며, 직무 수행 태도가 추가될 수 있다. 평가 방법은 근무 실적, 직무 수행 능력 등 평가 항목별로 실시하며, 평가 항목의 총점은 100점으로 한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