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4044 |
---|---|
한자 | 釜山廣域市社會福祉協議會 |
영어공식명칭 | Busan Council on Social welfare |
이칭/별칭 | 부산직할시 사회복지협의회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연제구 법원로 12[거제동 1497-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노승조 |
[정의]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사회 복지 협의체.
[개설]
부산광역시 사회복지협의회는 사회 복지의 발전과 복지 공동체 구현을 위한 나눔의 정신으로 지역 사회의 복지 증진을 위해 활동하는 사회 복지와 관련된 기관 및 단체의 협의체이다.
[설립 목적]
부산광역시 사회복지협의회는 부산 지역의 사회 복지에 관한 조사·연구 및 교육 등 각종 사회 복지 사업을 전개하고, 조직적으로 협의·조정하며, 사회 복지에 대한 시민의 참여를 촉진시킴으로써 지역 사회의 복지 증진과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1985년 2월 15일 한국사회복지협의회[1952년 2월 설립] 부산 분사무소로 부산직할시 사회복지협의회의 발기 총회를 통하여 동광동 1가에 창립하였다. 1991년 6월 연산동으로 이전하였고, 1997년 7월 11일 사직동으로 이전하였다. 1998년 11월 25일 부산광역시 사회복지협의회로 변경하였고, 12월 28일 단독 법인인 사회 복지 법인으로 등록[부산광역시]하였다. 2000년 6월 8일 부산광역시에 비영리 민간단체로 등록하였고, 2002년 1월 23일 거제동으로 이전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사회 복지 관련 분야의 중요한 사회적 문제와 이슈, 현안에 대한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 협의·조정을 통한 발전 방향 모색과 지역 복지 발전을 위한 정책 개발 사업[사회 복지 포럼 및 세미나 개최, 정책 건의 및 개발, 정책 간담회 및 의정 활동 모니터링 등], 사회 복지 근무자의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과정의 직무 능력 향상 교육 및 사회 복지 학부생을 위한 복지 현장 실습, 시민을 대상으로 복지 의식 함양 교육 등 사회 복지 전반에 이르는 다양한 교육 훈련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부산 사회 복지 신문 발행, 사회 복지 관련 단체 주소록 발행 등의 출판 홍보사업과 사회 복지의 날 기념식, 사회 복지 정보 사이트 운영을 통해 사회 복지에 대한 시민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의 결속력 강화 등 지역 사회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복지 활성화 사업, 사회 복지 분야의 정보화를 촉진하고 지역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해 사회 복지 정보 센터를 운영하여 자원 봉사 활동 정보의 수요 충족 및 자원 정보 서비스 제공 등의 사업을 펼치고 있다.
[현황]
부산광역시 사회복지협의회는 2012년 현재, 129개의 기관·단체[사회 복지 시설] 회원[아동 복지 17개, 장애인 복지 14개, 모자 보건 1개, 노인 복지 6개, 정신 지체 관련 2개, 복지관 17개, 관련 법인·단체 72개]와 59명의 개인 회원[경제·언론·종교·법조·문화·보건 의료 계통 교수, 단체 대표, 종사자 등]들로 구성되어 있다.
총회, 회장, 부회장 5명, 명예 회장, 이사회[이사 16명, 감사 2명], 사무처[회계·행정 회원 관리, 교육 훈련 정책 개발, 복지 활성화 사업 조사 연구 출판 홍보, 사회 복지 정보 센터, 사회 공헌 정보 센터], 전문위원회[정책기획위원회, 대외협력위원회, 윤리경영위원회], 16개 구·군 협의회 등의 조직이 있다. 사무처에 실무 책임자인 사무처장을 포함하여 상근 활동가 5명이 근무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부산광역시 사회복지협의회는 ‘변화와 협력, 소통’이라는 미션 하에 ‘부산형 복지 비전’을 제시하고, 복지권이 보장되는 지역 사회를 만들기 위해 헌신하고 있는 부산 지역 사회 복지 단체를 대표하는 단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