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4031 |
---|---|
한자 | 氣候變化-代案- |
영어의미역 | Energy Alternative Center on Climate Change |
이칭/별칭 | 기후에너지센터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 263[초량동 1147-14]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노승조 |
[정의]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환경 관련 시민 단체.
[개설]
기후변화에너지대안센터는 기후 변화와 에너지 고갈 위험 사회를 대비하여 이에 대응하는 정책 제시, 환경 교육, 실천 캠페인 등의 활동을 하는 시민 단체이다.
[설립 목적]
기후변화에너지대안센터는 기후 변화와 에너지 자원 고갈로 인한 인류의 위기 상황을 절감하는 시민의 의지를 모아 화석 연료와 원자력 중심의 현재 에너지 체계를 대신하는 ‘기후 변화 대응’과 ‘독립형 지역 분산형 에너지 체계’ 구축 등을 통해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어 나가는데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하였다.
[변천]
2007년 5월 21일 에너지 고갈의 시대를 대비하고자 부산 지역에서 태양광 발전 시설 건립 등에 뜻을 같이한 10여 명의 추진 위원이 주축이 되어, 부산시민햇빛발전 추진위원회로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서 발족하였다. 2008년 1월 제1호 발전소로 민주 공원 시민 햇빛 발전소를 완공하였고, 2008년 10월 부산시민햇빛발전으로 비영리 사단 법인으로 등록[지식경제부]하면서 부산광역시 비영리 민간단체로 등록하였다. 2009년 12월 기후변화에너지대안센터로 명칭을 변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시민 햇빛 발전소 사업으로 민주 공원[5㎾], 수영 햇빛 발전[28.3㎾], 온천천 햇빛 발전[48.6㎾] 등 3기를 운영하고 있다. 교육 사업으로 ‘가정 에너지 코디네이터 양성 과정’, ‘기후 에너지 교육 전문 지도자 양성’, ‘낙동강 생태 문화와 함께 하는 에너지 가족 캠프[유네스코 지속 가능 교육 공식 프로젝트로 2011년 12월 8일 인증 획득], 풀빛에너지학교-중간 기술 교실, 국내 에너지 선진 시설 현장 견학 등의 사업을 하고 있다.
정책 사업으로 온실 가스 목표 관리제 및 탄소 배출권 대응 사업, 동남권 신공항 추진 사업, 북항 재개발 사업 등 생태 도시 부산 실현을 위한 사업과 관련된 활동을 하고 있다. 홍보 사업으로는 다양한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고, 시민 실천 사업으로 부산녹색구매지원센터[환경부 인증] 사업을 통해 녹색 소비문화 활성화를 위한 교육·홍보·정보 제공, 모니터링, 지역에서의 판매 네트워크 구축 등과 관련된 활동을 하고 있다.
[현황]
2012년 현재 4명의 공동 대표[상임 대표 차득근 동의대학교 전기공학과 교수 외 황소용, 이상룡, 김대오]와 16명으로 편성된 운영 위원회[이사회], 3명의 사무처 활동가, 정책 위원회·기획 위원회·교육 위원회·녹색 기업 위원회·조직 홍보 위원회·에너지 절약 지원단 등 9개의 위원회와 특별 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저탄소 생활 실천 기반 구축, 교육을 통한 단체의 전문성 강화, 정책 역량 강화를 통한 지역 의제 발굴과 대안 제시라는 3대 사업을 기조로 기후 변화와 에너지 문제에 있어 부산 지역에서 가장 모범적이고 활동력이 강한 시민 단체로서, 교수와 연구원 등 전문적인 인력을 확보하여 부산 지역 유관 기관 등과 함께 거버넌스 활동을 통해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