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602
한자 田里-
영어의미역 Jeonri Village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 전리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표용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변천 시기/일시 1914년 - 경상남도 동래군 읍내면 연산동
변천 시기/일시 1942년 - 경상남도 동래군 읍내면 연산동에서 경상남도 부산부 동래출장소 연산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46년연표보기 - 연산 1동이 연산 1·2동으로 분동
변천 시기/일시 1957년 -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출장소 연산동에서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구 연산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70년 7월연표보기 - 연산 2동이 연산 2·4동으로 분동
변천 시기/일시 1975년 10월연표보기 - 연산 2동이 연산 2·5동으로 분동
변천 시기/일시 1979년 8월연표보기 - 연산 3동이 연산 3·6동, 연산 4동이 연산 4·7동으로 분동
변천 시기/일시 1982년 9월연표보기 - 연산 1동이 연산 1·8동으로 분동
변천 시기/일시 1985년 12월연표보기 - 연산 8동이 연산 8·9동으로 분동
변천 시기/일시 1995년 3월 - 부산직할시 동래구 연산동에서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2008년 3월 - 연산 6동, 연산 7동을 연산 6동으로 통합
자연 마을 전리 마을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 전리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었던 자연 마을.

[명칭 유래]

금련산 북쪽 사면 마하사(摩訶寺)골 아래쪽 사면에 밭이 많이 있다고 하여 전리(田里) 마을이라 불렀다.

[형성 및 변천]

전리 마을 남쪽 산지에 있는 마하사가 1,500여 년 전인 통일 신라 때 창건되었다고 전해지는 것으로 미루어 오랜 거주 역사를 추정할 수 있지만, 형성 시기에 대해서는 전하는 바가 없다. 마을이 속한 지역은 1910년 동래군 서면에서 부산부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동래군 읍내면 연산동에 속하였다. 1942년 10월 부산부 동래출장소 관할이 되었다. 1946년 연산동연산 1동, 연산 2동으로 분동되고, 1957년 구제가 실시되면서 동래구에 속하였다.

1970년 7월 연산 2동연산 2동, 연산 3동으로 분동되고, 1979년 8월 연산 3동연산 3동, 연산 6동으로, 연산 4동연산 4동, 연산 7동으로 분동되었다. 1982년 9월 연산 1동연산 1동, 연산 8동으로 분동되었으며, 1985년 12월 연산 8동연산 8동, 연산 9동으로 분동되었다. 1995년 3월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연제구가 신설되어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 전리 마을이 되었다. 2008년 3월 연산 6동, 연산 7동연산 6동으로 통합하여 오늘에 이른다.

마을의 오랜 거주자들은 전리 마을을 1공구, 2공구, 3공구로 부른다. 1964년 부산항 초량 부두 매축지 철거민의 이주 당시 가장 먼저 형성된 곳을 1공구[연제구 연산 3동 811번지 일대로 연산 3동 주민자치센터 부근]라 부르고, 순차적으로 2공구[연제구 연산 6동 1941번지 마하사 입구 오른쪽 일대]와 3공구[연제구 연산 6동 1876번지 일대]가 조성되었다. 마을 규모가 확장된 것은 1964년 이후임을 알 수 있다.

[자연 환경]

전리 마을 남쪽에 금련산이 있는데, 마을은 금련산의 북쪽 사면 능선에 위치한다. 북쪽에는 배산이 마주하며, 동쪽에는 수영구 망미동으로 넘어가는 망미 고개가 있다. 또한 금련산 마하사골에서 발원한 쌍미천이 북서쪽으로 흘러나가는 상류 지점이다.

[현황]

전리 마을은 연제구 연산 3동 주민자치센터에서부터 연미초등학교 부근까지 걸쳐 있던 자연 마을이었다. 1964년 부산항 초량 부두 매축지의 철거민 이주로 대규모 주택지가 조성되며 옛 흔적은 거의 사라졌다. 연산 3동 주민자치센터, 연산파출소, 연미초등학교, 부산여자상업고등학교, 연산우체국, 부산은행 연미지점 등이 있고, 마을 북쪽으로 연수로도시 철도 3호선이 지나간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