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537
영어의미역 Jwiseam Island
이칭/별칭 서도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성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면적 0.053㎢
높이 98m
길이 약 750m[남북]|250m[동서]
전구간 쥐섬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지도보기
해당 지역 소재지 쥐섬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섬.

[명칭 유래]

쥐섬[鼠島]이라는 지명은 이곳에 쥐가 많이 서식하여 붙여졌다고도 하고, 섬의 형상이 쥐를 닮았다 하여 붙여졌다고도 한다. 한자로 표기해 서도(鼠島)로도 불린다. 조선 시대의 공식 명칭은 축이도 또는 싸리나무 섬으로 전해지는데 그 연원은 알 수가 없다.

[자연 환경]

다대 반도의 남쪽에 위치하고 있는 섬으로 무인도이다. 쥐섬은 화산 작용으로 형성된 섬으로 추정되며, 섬 주위는 해식애[파랑의 침식으로 형성된 절벽]와 해식동[파랑의 침식으로 형성된 동굴]이 발달해 있다. 해식애 위쪽으로는 동백나무, 칡, 팽나무, 굴피나무 등 수목이 울창하다. 쥐섬 북쪽으로 2㎞ 떨어진 곳에 몰운대(沒雲臺)가 있으며, 서쪽으로는 동호섬, 동쪽으로는 동섬이 있다. 북서쪽의 낙동강 하구에는 대마등(大馬嶝), 장자도(長子島), 신자도 등이 있다.

[현황]

쥐섬의 남북 길이는 약 750m, 동서 길이는 250m이며, 최고봉의 고도는 98m, 섬의 면적은 0.053㎢이다. 쥐섬은 무인도로 저녁노을과 어우러진 섬의 풍경이 장관을 이루는 절경지이다. 벵에돔, 감성돔, 놀래미, 참돔, 전갱이, 고등어 등이 많이 잡히는 곳이라 끝단의 갯바위는 낚시꾼이 즐겨 찾는 장소이다.

쥐섬은 인근의 고리섬, 솔섬과 함께 다대포 입구의 삼도로 일컬어지며, 다대 팔경(多大八景) 중 하나인 ‘삼도귀범(三島歸帆)’[다대포 입구의 삼도에는 아침이면 하얀 돛을 단 배가 앞바다 저 멀리 고기잡이를 나간다. 저녁이면 만선을 이룬 배들이 흰 돛을 펼쳐 단 돛단배가 다대포의 입구인 삼도 주변의 바람을 안고 포구로 돌아온다]에 해당한다. 쥐섬 정상부에는 등대가 있다. 북쪽으로 몰운대 유원지다대포 해수욕장이 있고, 북동쪽으로는 다대포항이 자리하고 있다.

[참고문헌]
  • 『부산 지명 총람』5(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1999)
  • 『부산의 자연 마을』5-북구·사상구·사하구(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10)
  • 『한국 지명 유래집』-경상편(국토지리정보원, 2011)
  • 부산광역시 문화 관광(http://tour.busan.go.kr)
  • 부산광역시 사하구청(http://www.saha.go.kr)
  • 부산광역시청(http://www.busan.go.kr)
  • 지역 정보 포털(http://www.oneclick.or.kr)
  • 큐비 여행(http://www.qubi.com)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