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동래 곡저 평야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404
한자 東萊谷底平野
영어의미역 Dongnae Gokjeo Plain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동래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반용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평야
전구간 동래 곡저 평야 - 부산광역시 금정구~동래구
해당 지역 소재지 동래 곡저 평야 - 부산광역시 금정구
해당 지역 소재지 동래 곡저 평야 - 부산광역시 동래구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와 동래구에 발달한 평야.

[명칭 유래]

온천천의 측방 침식으로 형성된 곡저 평야로 동래 지역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어 붙은 이름이다.

[자연 환경]

동래 곡저 평야금정구동래구온천천 양안에 있는 좁은 평야이다. 금정산(金井山)계명봉(鷄鳴峰)에서 발원해 수영 하수 처리장 부근에서 수영강에 합류하는 온천천의 중하류 하곡을 따라 발달해 있다. 온천천은 동래 분지의 구조곡[양산 단층선]을 따라 동래구를 북동-남서 방향으로 관통하는 하천으로 하도 길이는 15.6㎞, 너비는 60~90m이다. 하천은 유로를 따라 흐르면서 측방 침식과 하방 침식이 이루어져 상류는 침식 작용을 주로하며, 중·하류는 측방 침식과 함께 운반된 토사의 퇴적이 이루어진다.

온천천금정구동래구·연제구를 지나며 비교적 좁은 하폭으로 흐르며 상류부에서부터 운반한 토사를 온천천 중하류에서 양안에 퇴적한다. 금정구동래구 일대의 온천천 일대에는 하천 양안을 따라 좁고 긴 벨트 형태의 대상(帶狀) 평야가 형성된다. 동래 곡저 평야는 현재 제방 축조와 도로 건설로 옛 모습을 찾기 어려우나, 과거에는 홍수 시 잦은 침수가 발생하던 지역이다.

[현황]

동래 곡저 평야는 부산의 주요 시가지를 통과하고 있어 옛 모습은 거의 사라지고 없다. 동래 곡저 평야는 본래 온천천 양안에 전개되던 퇴적 지형으로, 저지대는 논과 미나리꽝[미나리를 심는 논]으로 이용되었으나, 현재는 개발로 흔적을 찾을 수 없다. 온천천은 생태 하천으로의 복원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수변 공원 조성 사업의 일환으로 온천천 시민 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또한 하천 양안으로 제방이 축조되고 도로가 개설되어 하도는 직강화되었으며, 동래 곡저 평야를 따라 도시 철도 1호선이 지나가고 있다. 또한 옛 동래 곡저 평야의 저습지에는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