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396
한자 金蓮山脈
영어의미역 Geum-myeon Mountain Range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성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산맥
전구간 금련산맥 - 부산광역시
해당 지역 소재지 금련산맥 - 부산광역시

[정의]

부산광역시기장군 달음산에서 영도구 봉래산까지 이어지는 산맥.

[개설]

부산의 산지는 금정산맥(金井山脈), 금련산맥(金蓮山脈), 신어산맥(神魚山脈) 등 세 갈래의 산지로 구분된다. 금련산맥은 산정이 낮고 연속성이 약하나 해안에 치우쳐서 해안선과 평행하게 달리는 해안산맥(海岸山脈)으로, 부산의 해안과 내륙을 갈라놓는 자연 방벽에 해당한다.

[명칭 유래]

금련산맥금련산 줄기를 잇는 산맥이라 하여 붙은 이름이다. 금련산맥의 여러 산 중에서 금련산의 명칭을 따온 연원은 알 수가 없다.

[자연 환경]

금련산맥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면달음산(達陰山)에서 구곡산(九曲山)과 감딤산을 거쳐 장산(萇山)[634m], 금련산(金蓮山)[415m], 황령산(荒嶺山)[427m]을 지나 영도구봉래산(蓬萊山)[394m]에 이르는 산맥이다. 부산 북동쪽에서 남서쪽의 방향성을 보이며 해안선을 따라 발달해 있다. 금정산맥에 비해 고도가 낮고 산맥으로서의 연속성이 약하지만, 해안선과 거의 평행하게 달리는 해안 산맥으로 부산의 해안과 내륙을 갈라놓는 자연적인 장애물의 역할을 한다.

금련산맥은 울산 단층의 영향을 받은 단층 산지이나 오랜 지질 시대를 거치면서 하천의 개석 작용으로 북동에서 남서 방향의 연속성을 제외하면 그 흔적이 뚜렷하지 않아 산지의 연속성도 약하다. 따라서 달음산, 감딤산, 장산, 금련산, 황령산, 봉래산 등의 산정이 방향성을 유지할 뿐 곳곳에서 하천의 개석에 의해 단절된 독립 산지의 형태로 남겨져 있다.

금련산맥의 지질 구조는 대부분 안산암질의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북동부의 장산 일대는 석영 반암, 그리고 남서부 말단인 봉래산은 규장 반암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지질 구조의 특성 때문에 산정은 화강암 산지와 달리 대부분 종순형을 이룬다. 금련산맥의 산지 중 장산과 구곡산[436m]은 수영강 동쪽에 자리하고 있으며, 가장 높고 험준하고 사면 경사가 급하다. 단층 선곡인 수영강동천의 하곡 사이에 있는 중부는 황령산금련산이 주봉을 이루는 노년 산지로 산정은 수영강동천을 비롯한 소하천의 개석 작용에 의해 예리한 맛을 잃어버린 종순형이고 사면도 완만한 것이 특징이다.

산체가 곳곳에서 해체되어 배산(盃山)[225m], 백산(白山)[110m]과 같은 독립 구릉이 있는가 하면 낮은 산각만이 겨우 유지되면서 우암 반도와 같이 부산만에 몰입하는 산등성이의 지맥도 있다. 남쪽 말단부는 영도의 주봉인 봉래산으로 산정은 예리하며 급사면을 이룬다. 사면은 가파른 편이고 특히 남쪽 사면은 급한데다가 바다에 거의 수직으로 몰입하여 해식애를 이룬다. 산록에는 중력에 의해 떨어진 암석들로 구성된 애추(崖錐)가 곳곳에 분포하고 있다.

[현황]

금련산맥은 부산의 남동쪽 해안선을 따라 달리는 산지로 해운대구, 남구수영구, 영도구를 통과한다. 금련산맥이 통과하는 남동쪽 해안부는 부산의 중심 시가지로, 특히 장산해운대구의 주봉으로서 남쪽과 남동 및 남서 사면을 따라 시가지가 발달해 있고 해운대의 배후 산지 역할을 한다.

금련산맥 중에서 두 번째로 높은 황령산은 남동쪽 산록으로 남구남천동대연동 등 시가지가 발달해 있으며, 황령산의 북동쪽 약 1㎞에 있는 금련산남구 광안동, 수영동동래구 연산동을 경계 짓고 있다. 장산과 구곡산의 남동쪽으로는 부산 울산 고속 도로가 통과하고, 황령산금련산의 남동쪽으로는 번영로가 통과한다. 장산부터 황령산 남쪽 자락까지는 부산 도시 철도 2호선이 지나간다. 금련산맥은 부산의 남쪽과 남동쪽의 해안선을 따라 발달해 있어, 송정 해수욕장, 해운대 해수욕장, 광안리 해수욕장과 인접해 있다.

[참고문헌]
  • 『부산시사』1(부산직할시사편찬위원회, 1989)
  • 『부산 지명 총람』6(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00)
  • 『부산의 자연 마을』4-기장군(Ⅱ) 장안읍, 일광·정관·철마면(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09)
  • 『한국 지명 유래집』-경상편(국토지리정보원, 2011)
  • 금수강산(http://www.mauntin.co.kr)
  • 부산광역시 기장군청(http://www.gijang.go.kr)
  • 부산광역시 문화 관광(http://tour.busan.go.kr)
  • 부산광역시청(http://www.busan.go.kr)
  • 지역 정보 포털(http://www.oneclick.or.kr)
  • 한반도의 산하(http://no1san.com.ne.kr)
  • 해운대 문화 관광(http://tour.haeundae.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