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용두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179
한자 龍頭臺
영어음역 Yongdu-dae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죽성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성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전구간 용두대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죽성리
해당 지역 소재지 용두대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죽성리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죽성리에 있는 야산.

[명칭 유래]

용두대(龍頭臺)는 산의 지세나 형태가 용머리처럼 생겼다고 하여 붙은 이름이다. 용두대는 풍수적 명당으로 알려져 『기장읍지(機張邑誌)』에서 4대 경승지 가운데 하나로 꼽고 있다.

[자연 환경]

용두대는 산봉우리가 세 겹으로 둘러싸여 있는 야산으로, 동쪽으로는 신천천이 동해로 유입하고 남쪽으로는 봉대산(烽臺山)이 자리 잡고 있다. 용두대는 풍수적 명당으로 알려진 기장의 경승지 중 하나이다. 용두대의 지맥을 보면, 용의 머리에 붙은 목 부분이 잘록하여 두 사람이 함께 걷기 어려우며 양면이 날카롭게 생겼다. 용의 허리는 완만하게 세 번 굽어지고, 꼬리는 뚜렷이 한쪽으로 뻗어 있어 한 마리의 용이 바다에 떠 있는 형국(形局)이다.

이 지방의 풍수가들은 “황룡부해지형(黃龍浮海之形)이라 하며, 좌에 유온천(有溫泉)이고, 용의 여의주처럼 용두대 앞 바다에는 큰 바위가 줄지어 서 있다”고 한다. 용두대 앞에 있는 어사암(御史岩)[옛날에 어사가 놀았다 하여 붙은 이름]과 응암(應岩)[바위의 모양이 매처럼 생겼다 하여 붙은 이름]이 바다와 어우러져 절경을 이루며, 북동쪽으로는 황학대(黃鶴臺)가 펼쳐져 있다.

[현황]

주변의 계곡과 산이 아름다워 조용한 곳을 찾는 피서객들이 용두대를 많이 찾는다. 남쪽으로는 기장 죽성리 왜성기장 남산 봉수대[부산광역시 문화재 자료 제2호]가 있어 역사 탐방도 겸할 수 있다. 서쪽으로는 기장군청 및 기장읍이 형성되어 있다.

[참고문헌]
  • 『기장군지』(기장군지편찬위원회, 2001)
  • 『부산 지명 총람』7(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01)
  • 『부산의 자연 마을』4-기장군(Ⅱ) 장안읍, 일광·정관·철마면(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09)
  • 기장군 문화 관광(http://tour.gijang.go.kr)
  • 부산광역시 기장군청(http://www.gijang.go.kr)
  • 부산광역시청(http://www.busan.go.kr)
  • 부산 기장 임랑 해맞이 정보화 마을(http://imrang.invil.org)
  • 지역 정보 포털(http://www.oneclick.or.kr)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9.10.17 오자 수정 御使岩 -> 御史岩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