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2978
한자 晋州城圖
영어의미역 Map of Jinjuseong Fortress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부민동 2가 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재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13년 10월 23일연표보기 - 진주성도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34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진주성도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재지정
현 소장처 동아대학교 박물관 -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부민동 2가 1]지도보기
성격 고지도
서체/기법 회화식 지도
소유자 동아대학교
관리자 동아대학교 박물관
문화재 지정번호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정의]

동아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19세기 진주를 배경으로 한 회화식 지도.

[개설]

진주성도(晋州城圖)의 묘사 방식은 18세기에 크게 유행했던 진경산수화풍이 매우 형식화된 모습으로 표현되었는데, 이러한 특징은 19세기에 제작된 회화식 지도에서 보편적으로 확인되는 것이기도 하다. 2013년 10월 23일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34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및 구성]

지본 담채(紙本淡彩)에 총 10폭의 병풍으로 구성되어 있다. 크기는 각 폭이 세로 143.0㎝, 가로 34.0㎝이다. 진주성도는 조선 시대 번화한 도회이자 임진왜란 때의 충절의 고장으로 유명했던 진주성 및 그 주변에 위치한 주요 건물과 시설, 그리고 남강 등의 자연 경관이 부감시(俯瞰視)의 방법으로 자세하게 묘사되어 있다. 산과 수목 표현에 두드러지게 사용된 ‘T’자형 소나무, 미점(米點) 등은 정선(鄭敾)과 그의 추종자들이 즐겨 썼던 것이며, 촉석루(矗石樓) 남쪽 주변 절벽이나 9~10폭 하단의 상적벽(上赤璧)·하적벽(下赤璧) 묘사에 사용된 윤곽선 위주로 바위를 표현하고 있다.

[특징]

진주성도는 화격(畵格)이 높고 주요 관아 건물 및 문루나 시설 등에 그 명칭이 자세히 적혀 있는 등 당시 진주의 주요 행정·군사 시설 뿐 아니라 지형·자연 경관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고 있어 19세기 진주의 모습을 복원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의의와 평가]

중앙의 도화서(圖畫署) 화원 중 경상도 병영에 소위 ‘화사 군관(畵師軍官)’으로 파견된 화원들 혹은 이들의 영향을 받은 지역 화가들에 의해 제작된 작품이라는 주장이 대두되고 있는 것과 관련하여 지역 회화, 특히 경상도 지역의 회화 제작 관행과 관련하여 중요하게 해석될 수 있는 작품이다. 아울러 규격이 클 뿐만 아니라 그림의 채색이 잘 남아 있으며, 지명이나 건물명 등이 자세히 적혀 있어 지금까지 전해 오는 진주성도 중 대표적 작품으로 평가받을 수 있는 유물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