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 경남고등학교 덕형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2968
한자 釜山慶南高等學校德馨館
영어의미역 Deokhyeonggwan Hall in Gyeongnam High School in Busan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부산광역시 서구 망양로111번길 65[동대신동 3가 1-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재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956년 11월 30일연표보기 - 부산 경남고등학교 덕형관 준공
개축|증축 시기/일시 1995년 5월연표보기 - 4층 원형 교사를 특별 교실로 리모델링
문화재 지정 일시 2013년 10월 29일연표보기 - 부산 경남고등학교 덕형관 국가등록문화재 제568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부산 경남고등학교 덕형관 국가등록문화재로 재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1년 9월 - 인테리어 건축 공사 실시
현 소재지 경남고등학교 - 부산광역시 서구 망양로 111번길 65[동대신동 3가 1]지도보기
성격 근대 문화유산|교육 시설
양식 근대 모더니즘 양식
소유자 부산광역시 교육청
관리자 경남고등학교
문화재 지정번호 국가등록문화재

[정의]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3가 경남고등학교 내에 있는 교육 시설.

[개설]

광복 이후 부산 경남고등학교 덕형관(德馨館)과 같은 평면 형식을 가진 교육 시설이 일부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까지 보존된 건물은 덕형관이 유일하다. 덕형관은 근대 모더니즘 건축 연구에 소중한 자료가 될 뿐 아니라 건축사적 가치가 큰 건물이다.

[변천]

부산 경남고등학교 덕형관은 1956년 11월 30일 준공되었다. 1995년 5월 4층 원형 교사를 특별 교실로 리모델링해 컴퓨터실, 역사관, 특활실, 상담실, 자습실, 문예실, 어학실, 자료실, 세미나실, 학생 식당, 직원 식당, 매점 등을 갖추었다. 2011년 9월에는 인테리어 건축 공사를 하였다.

[형태]

근대 모더니즘 양식의 원형 평면으로 구성된 지상 4층 규모의 교육 시설로, 건축 면적 484.7㎡, 연면적 2,020.47㎡이다[교실 14개, 도서실, 교무실, 교장실, 서무실, 위생실, 숙직실, 계단실 2곳, 홀, 현관, 화장실]. 한국 근대 건축 1세대에 속하는 이천승(李天承)[1910~1992]의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원형 평면의 중심에 나선형 계단을 두고 각 공간을 균등하게 6등분으로 구획하여 5개의 교실과 1개의 화장실, 계단실을 두고 있으며, 외곽에 발코니를 갖는 원통형 형태의 조형과 수평성이 강조된 난간을 갖고 있다.

[현황]

부산 경남고등학교 덕형관은 조형적 형태와 내부 공간에서 건립 당시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는 건물로 여겨지는데, 특히 내부 공간은 마감 재료와 함께 건립 당시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보존이 양호하다. 그러나 외관의 경우 1995년 리모델링 공사 당시 외부 마감 재료와 창호, 난간부 등을 모두 교체하여 건립 당시의 모습을 확인하기는 어렵다. 2013년 10월 29일 국가등록문화재 제568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국가등록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부산 경남고등학교 덕형관부산대학교 구 본관[인문대학 건물], 동아대학교 구 도서관[구덕캠퍼스 내 석당 기념관]과 함께 광복 이후 건립된 부산 지역의 초기 교육 시설로, 특히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는 건축물이다. 현재 부산 지역에서는 광복 이후 순수 우리 기술로 건립된 교육 시설이 문화재로 지정, 등록된 경우가 거의 없다. 이에 경남고등학교에서 덕형관을 학교 역사관으로 활용하면서 건물의 역사적, 건축적 가치를 계승하려는 노력은 근대 건축물의 보존과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바람직한 사례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