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2816
한자 光明學園
영어공식명칭 Kwangmyeong Academy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영도구 와치로 131[동삼동 226-1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양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학교 법인
설립자 이학수
전화 051-405-6290
설립 시기/일시 1973년 12월 24일연표보기 - 설립 인가
최초 설립지 광명학원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 산147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광명학원 - 부산광역시 영도구 와치로 131[동삼동 226-11]지도보기
현 소재지 광명학원 - 부산광역시 영도구 와치로 131[동삼동 226-1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학교 법인.

[개설]

우리나라가 1910년 국권 피탈을 당하고 난 이후에, 의분을 금치 못하던 수많은 구국 지사들과 나라를 잃은 백성들이 고향을 등지고 두만강을 건너 중국 지린 성[吉林省] 연변 땅으로 이주하여 용정(龍井) 지역을 중심으로 항일 투쟁과 독립운동의 근거지가 되었다. 국권 회복을 위해서는 교육을 통한 민족정기를 일깨워야 한다고 믿은 선각자들에 의해서 영신중학교가 세워졌으며, 1924년 갑자년 흉년으로 학교운영이 어려워지자 뜻을 가진 이들에 의해 1925년 광명중학교로 개명하면서 맥을 잇게 되었다.

[설립 목적]

해방 후 귀국한 300여 명의 졸업생들 가운데 고려원양을 세워 원양 어업을 개척한 이학수 이사장[광명중학교 18회]이 광명중학교의 혼을 잇고자 설립하였다.

[변천]

1973년 12월 24일 광명학원(光明學園)을 학교 법인으로 설립 인가 승인을 받은 후 초대 이사장으로 이학수가 취임하였다. 그 후 1986년 7월 9일 광명고등학교 설립 계획 승인을 얻어 광명고등학교를 설립하였다. 1993년 대전 엑스포가 열리는 해에 설립 취지를 살리고자 자매결연을 한 중화 인민 공화국 조선족 자치주 연변 에 있는 용정중학교[구 광명중학교]의 교장 1명, 교사 2명 외 학생 10여 명을 초청하여 우리 민족의 경제 발전과 과학 기술의 발전상을 직접 견학하게 하고, 상호 친선 교류 및 민족적 우의를 다지기도 하였다.

[현황]

2012년 현재 광명학원광명고등학교의 본관 부지는 3,382㎡이고 운동장은 7,000㎡이며, 기타 정원 및 임야는 3만 4960㎡로 총합 4만 5342㎡이다. 그 외에 재단의 재산으로 토지, 임야, 건물 등이 있다. 이사회는 이사장 이근우, 이사 신미호 등 7명, 감사 임완순·홍인화로 구성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일제 강점기 일어난 민족혼을 잇고자 설립한 학교 법인으로 현재도 낙후된 지역 여건 속에서 다양한 학교 프로그램을 정착시켜 기초 학력 증진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