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희망촌 마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1135
한자 希望村-
영어의미역 Huimangchon Village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동 희망촌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표용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변천 시기/일시 1910년 - 경상남도 동래군 사천면 목정리 지역이 경상남도 부산부에 편입
변천 시기/일시 1914년 3월 - 경상남도 동래군 사천면 목장리에서 경상남도 동래군 사하면 괴정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42년 - 경상남도 동래군 사하면 괴정동에서 경상남도 부산부 사하출장소 괴정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49년 - 경상남도 부산부 사하출장소 괴정동에서 경상남도 부산시 사하출장소 괴정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57년 - 경상남도 부산시 사하출장소 괴정동에서 경상남도 부산시 서구 사하출장소 괴정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59년연표보기 - 괴정동이 괴정 1·2동으로 분동
변천 시기/일시 1965년연표보기 - 괴정 1동이 괴정 1·3동으로 분동
변천 시기/일시 1975년 10월 - 부산직할시 서구 사하출장소 괴정동에서 부산직할시 사하출장소 괴정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79년 8월연표보기 - 괴정 1동이 괴정 1·4동으로 분동
변천 시기/일시 1983년 12월 - 부산직할시 사하출장소 괴정동에서 부산직할시 사하구 괴정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 사하구 괴정동에서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동으로 개편
자연 마을. 희망촌 마을 -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동 희망촌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동에 있었던 자연 마을.

[명칭 유래]

1950년 6·25 전쟁 때 피난민이 정착하면서 형성된 마을로, 희망을 갖고 살아야 한다는 피난민의 바람을 담아 희망촌(希望村) 마을이라 불렀다고 한다.

[형성 및 변천]

희망촌 마을은 1950년 6·25 전쟁 때 전국에서 모여든 피난민들이 정착하면서 생겨났다. 1957년 구제 실시로 서구 직할 사하출장소가 설치되며 그 관할이 되었다. 1959년 괴정동괴정 1동, 괴정 2동으로, 1965년 괴정 1동괴정 1동, 괴정 3동으로 분동하였다. 1975년 10월 부산직할시 직할 사하출장소가 설치되며 그 관할이 되었다. 1979년 8월 괴정 1동괴정 1동, 괴정 4동으로 분동하였다. 1983년 12월 사하출장소가 사하구로 승격하였으며,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동 희망촌 마을이 되었다.

[자연 환경]

희망촌 마을 북쪽으로 구덕산승학산이 있고, 남쪽으로 배고개가 있다. 구덕산에서 발원한 괴정천이 마을을 지나 서쪽으로 흘러간다.

[현황]

희망촌 마을은 사하구 괴정 4동 주민자치센터에서부터 신평으로 넘어가는 배고개 아래쪽까지 걸쳐 있었으나 도시화가 진행되며 옛 흔적을 찾을 수 없다. 괴정 4동 치안센터, KT 사하지점, 사남초등학교 등이 있으며, 마을 북쪽으로 낙동로도시 철도 1호선이 지난다. 또한 사하구 신평 1동으로 넘어가는 배고개장평로가 지나고, 마을 가운데에 괴정천 복개로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