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1113
한자 余古-
영어의미역 Yeogo Village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동 여고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정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변천 시기/일시 1740년 - 동래부 서면 여고리에 편입
변천 시기/일시 1904년 - 경상남도 동래군 서상면 여고리
변천 시기/일시 1914년 - 경상남도 동래군 서상면 여고리에서 경상남도 동래군 동래면 여고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16년 - 경상남도 동래군 동래면 여고동에서 경상남도 동래군 동래면 사직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42년 - 경상남도 동래군 동래면 사직동에서 경상남도 부산부 동래출장소 사정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49년 - 경상남도 부산부 동래출장소 사정에서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출장소 사직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57년 -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출장소 사직동에서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구 사직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63년 -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구 사직동에서 부산직할시 동래구 사직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79년 - 행정동인 사직 2동에 편입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 동래구 사직동에서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동으로 개편
자연 마을 여고 마을 -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동 여고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동에 있었던 자연 마을.

[명칭 유래]

여고(余古) 마을의 명칭 유래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형성 및 변천]

여고 마을이 언제부터 형성되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동래부지(東萊府誌)』[1740] 각면 각리 원근정도조(各面各里遠近程道條)에 “여고리읍내면의 서쪽에 있는 서면에 속해 관문에서 5리 거리에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경상남도 동래군 가호안』[1904]에는 서상면(西上面) 관내에 여고리가 있고, 이 마을의 호수는 23호이며, 김씨(金氏)·문씨(文氏) 등의 성을 가진 사람이 많이 살고 있었다고 나타난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석사동거인동을 합하여 여고동이라 하여 경상남도 동래군 동래면에 편입시켰다. 여고 마을은 1916년 사직동에, 1942년 10월에는 경상남도 부산부 동래출장소 사정(社町)에 속하였다. 1949년 8월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출장소 사직동에 속하였으며, 1957년 1월에는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구 사직동에 속하였다. 1963년 1월 부산시가 부산직할시로 승격하였다.

1979년 1월 사직동의 행정동을 사직 1동사직 2동으로 나눌 때 사직 1동이 되었으며, 같은 해 8월 사직 1동사직 1동·사직 3동으로 나눌 때는 사직 3동이 되었다. 1995년 1월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동 여고 마을이 되었다. 여고 마을은 1960년대 초까지 온통 논과 밭, 미나리꽝이었으나 1967년 사직동 일원에 구획 정리 사업을 벌이면서 도시화되었다.

[자연 환경]

여고 마을은 서쪽은 낮은 산지를 제외하고는 사방이 트인 평지이다. 동쪽으로는 온천천이 남쪽으로 흘러간다.

[현황]

여고 마을에는 일반 주택, 빌라 등이 밀집되어 있다. 마을 이름은 여고 주산당, 여고유치원, 여고초등학교, 여고 주유소, 여고 노인정, 여고약국 등으로 남아 있다. 조선 후기부터 마을 서쪽에 있던 사직단[신동아 맨션 주변]은 일제 강점기 파괴되어 터만 남아 있다가, 1950년대 중반 도시화 과정에서 주택지로 변하면서 그 흔적마저 사라졌다. 2002년 부산광역시에서 여고 노인정 옆 화단에 사직단 터 표지석을 세웠다. 마을 서쪽으로 부산 도시 철도 3호선과 아시아드대로가 지나가고, 동쪽으로 미남로가 지나며, 지하철 3호선 사직역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