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신리 마을[연산동]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0651
한자 新里-蓮山洞-
영어의미역 Sinri Village[Yeonsan-dong]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 신리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표용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변천 시기/일시 1914년 - 경상남도 동래군 읍내면 연산동
변천 시기/일시 1942년 - 경상남도 동래군 읍내면 연산동에서 경상남도 부산부 동래출장소 연산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46년연표보기 - 연산 1동이 연산 1·2동으로 분동
변천 시기/일시 1957년 - 경상남도 부산부 동래출장소 연산동에서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구 연산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70년 7월연표보기 - 연산 2동이 연산 2·4동으로 분동
변천 시기/일시 1975년 10월연표보기 - 연산 2동이 연산 2· 5동으로 분동
변천 시기/일시 1979년 8월연표보기 - 연산 3동이 연산 3·6동, 연산 4동이 연산 4·7동으로 분동
변천 시기/일시 1982년 9월연표보기 - 연산 1동이 연산 1·8동으로 분동
변천 시기/일시 1985년 12월연표보기 - 연산 8동이 연산 8·9동으로 분동
변천 시기/일시 1995년 3월 - 부산직할시 동래구 연산동에서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으로 개편
자연 마을 신리 마을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 신리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었던 자연 마을.

[명칭 유래]

황령산(荒嶺山)[427.6m] 북쪽 사면 끝자락에 새로 생긴 마을이라고 하여 신리(新里) 마을이라 불렀다.

[형성 및 변천]

신리 마을[연산동]의 형성 시기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마을이 속한 지역은 1910년 부산부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동래군 읍내면 연산동에 편입되었다. 1942년 10월 부산부 동래출장소 관할이 되었다. 1946년 연산동연산 1동, 연산 2동으로 분동하였다. 1957년 구제가 실시되면서 동래구에 속하였다.

1966년 1월 연산 2동연산 2동, 연산 3동으로, 1970년 7월 연산 2동연산 2동, 연산 4동으로, 1975년 10월 연산 2동연산 2동, 연산 5동으로, 1979년 8월 연산 3동연산 3동, 연산 6동으로, 연산 4동연산 4동, 연산 7동으로 분동하였다. 1982년 9월 연산 1동연산 1동, 연산 8동으로, 1985년 12월 연산 8동연산 8동, 연산 9동으로 분동하였다. 1995년 3월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연제구가 신설되어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 섬안 마을이 되었다.

현재의 연제구청 뒤쪽은 동해 남부선 철로 공사 때 현장 기술자의 사택[57동의 일본식 목조 건물]이 있어 철도 관사라 불렸으며, 현재도 일부가 남아 있다. 또한 현재의 이마트 자리에는 1956년 부산여자대학교[현 신라대학교 전신]가 개교하여 1994년 사상구 괘법동 백양캠퍼스로 이전하였다.

[자연 환경]

신리 마을은 황령산의 북쪽 사면 끝자락에 위치하였다. 황령산에서 발원한 중앙천이 마을을 지나 북쪽으로 흘러내려 거제천에 합류한다. 현재는 중앙천과 거제천이 복개되어 도로로 이용되고 있다.

[현황]

신리 마을은 신리 삼거리에서부터 연제구청 부근까지 걸쳐 있던 자연 마을로, 도시화로 주거지와 관공서 건물이 들어서면서 옛 모습은 찾을 수 없다. 현재 이 지역은 연산2 치안센터, 연제구청, 연제구의회, 연제구보건소, 부산지방통계청, 부산선거관리위원회, 부산지방노동청, 부산지방국세청, 이마트 연산점 등이 있다. 인근에 연수로와 월드컵로가 지나고, 도시 철도 3호선이 지나는 교통 요충지이다. 옛 마을이 있던 곳은 신리 수퍼, 신리 버스 정류장, 신리 주차장, 신리 노인정 등의 명칭으로 그 흔적을 전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