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0092
한자 公脩-漁村契
영어의미역 Gongsu Village Fishermen's Association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공수해안길 13-2[시랑리 582]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수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어업인 경제 공동체
전화 051-723-1919
설립 시기/일시 1962년 1월 20일연표보기 - 설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1년연표보기 - 어촌 체험 관광 마을로 선정[해양수산부]
최초 설립지 공수마을어촌계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공수해안길 13-2[시랑리 582][구 경상남도 동래군 기장면 시랑리]지도보기
현 소재지 공수마을어촌계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공수해안길 13-2[시랑리 582]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시랑리에 있는 어촌 단체.

[개설]

부산동부수산업협동조합 소속 어민들의 계통 조직으로, 공동 어장의 공동 관리를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법률적 이용 주체이다.

[설립 목적]

「수산업협동조합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3644호, 2012. 2. 29] 제2조에 의거, 어촌계는 어촌계원의 어업 생산성을 높이고 생활 향상을 위한 공동 사업의 수행과 경제적·사회적 및 문화적 지위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공수마을어촌계는 1962년 1월 20일 「수산업협동조합법 시행령」[각령 제619호]에 의해 경상남도 동래군 기장면 시랑리[현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시랑리]에 설립하였다. 2001년 어촌 체험 관광 마을로 선정[해양수산부]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공수 마을은 전국적인 규모로 미역과 다시마가 많이 생산되는 곳으로, 해조류 양식어장 30㏊가 있다. 당산제와 풍어제[수년에 한번]를 지내고 있다. 어촌 체험 관광 마을 사업과 관련하여 그물을 잡아 올려 잡은 후릿그물 체험 행사와 미역 채취와 말리기 행사를 하고 있다. 매년 전복 치패와 조피, 볼락 등 수십 만 치어를 방류하고 있다.

[현황]

2012년 현재 부산광역시 기장군의 특산품인 미역과 다시마가 주 생산물이며, 공수마을어촌계가 관할하는 마을 어장은 6.7㏊이다. 계원 수는 73명이며, 마을 어장에서 고동, 해삼, 말똥성게 등을 채포하는 해녀 72명은 계원 가입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연안 어업 허가 어선 수는 33척으로, 스프링 통발을 이용하여 주로 문어를 잡고 통발과 자망으로 붕장어, 게와 가따구, 노래미 등 잡어를 어획한다. 면허를 받은 계원 22명은 해조류 양식 어장[23.3㏊]에서 미역·다시마 양식업을 하고 있다.

동부산 관광 단지 내에 있는 공수 마을은 농지와 거주지가 개발 지역구에 포함되어 있다. 어민들의 거주지는 이동되었고 공사로 인하여 토사가 바다로 유입되는 등, 미역 양식업에 큰 영향을 받고 있어 계원들은 집회 신고를 하며 보상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