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9387
한자 薔薇
영어공식명칭 Rosa spp.
영어의미역 Rose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식물/식물(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사하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동효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식물
학명 Rosa spp.
생물학적분류 현화식물문˃쌍떡잎식물강˃장미목˃장미과
원산지 서아시아
높이 1~3m
개화기 5월
결실기 10월
시화|시목 지정 일시 1983년 12월 15일연표보기 - 부산광역시 사하구 구화로 지정

[정의]

부산광역시 사하구 구화로 지정된 장미과의 낙엽 관목.

[개설]

장미는 100여 종의 야생종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장미라 부르는 것은 자연에 서식하는 야생 종간의 자연 잡종 및 이들로부터 얻어 낸 개량종을 말한다.

[형태]

장미는 1~3m에 이르고 어린 가지는 녹색이며, 가시가 있다. 작은 잎은 달걀형으로 길이는 3~7㎝이고 5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5월에 피며 지름 4~8㎝로 품종에 따라 여러 색이며, 꽃잎 또한 품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결실기는 10월이며, 열매는 구형으로 적황색이다.

[생태]

장미는 북반구의 한대, 아한대, 온대, 아열대 지역 등에 자연적으로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개량되어 자연 상태에서 나타나는 생태는 남아 있지 않다. 중부 이남 지역에서 식재하며, 전 세계에서 관상용으로 식재하고 있다. 적정 생육 온도는 주간 24~27℃, 야간 15~18℃이다. 30℃ 이상이면 꽃이 작아지고 꽃잎 수가 줄어들어 퇴색하고 잎이 작아지며 잎 색이 진해진다. 5℃ 정도이면 생육이 정지되고, 0℃ 이하이면 낙엽이 지면서 휴면에 들어간다. 토양은 물 빠짐이 좋고 공기 유통이 비옥한 사양토나 양토에서 잘 자란다.

[역사/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장미는 그리스·로마 시대에 서아시아에서 유럽 지역의 야생종과 자연 교잡에 의한 변종이 재배되었으며, 르네상스 시대에 걸쳐 주로 유럽 남부에서 많이 재배되어 온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는 8·15 광복 후에 유럽과 미국 등지로부터 우량종을 도입하여 다양한 원예 품종을 재배하고 있다.

[현황]

부산광역시 사하구는 1983년 12월 15일 장미가 아름다움[美], 사랑[愛], 사모함을 나타내며 사하구민의 화합과 정열을 상징한다 하여 구화(區花)로 지정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