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9262
영어의미역 Japanese Black Pine
이칭/별칭 해송,흑송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식물/식물(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현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식물
학명 Pinus thunbergil Parl.
생물학적분류 식물계˃겉씨식물문˃구과식물목강˃구과목˃소나무과
원산지 한국|중국|일본
높이 15~30m
개화기 5월
결실기 9월
구화|구목 지정 일시 1990년 7월 11일연표보기 - 부산광역시 영도구 구목으로 지정
구화|구목 지정 일시 1991년연표보기 - 부산광역시 서구 구목으로 지정
구화|구목 지정 일시 1995년 1월 1일연표보기 - 부산광역시 수영구 구목으로 지정
군화|군목 지정 일시 1995년 3월 1일연표보기 - 부산광역시 기장군 군목으로 지정

[정의]

부산광역시 서구·수영구·영도구의 구목과 기장군의 군목 및 보호수로 지정된 소나무과의 상록 침엽 교목.

[개설]

곰솔은 해변이나 해안 산지에서 자생하는 상록 침엽 교목으로 해풍, 건조, 습기에 강하다. 부산광역시 기장군의 군목(郡木)이면서 서구, 수영구, 영도구의 구목(區木)으로 지정되어 있다. 그리고 곰솔 5그루를 보호수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곰솔은 나무껍질이 흑갈색으로 검은빛을 띠어 흑송(黑松)이라 부르기도 하고, 해안가에서 잘 자라는 소나무라 하여 해송(海松)이라고도 한다.

부산 지역에는 총 5그루의 곰솔이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다. 자세히 살펴보면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 835번지에 곰솔 1그루, 기장군 일광면 원리 29-1번지에 곰솔 1그루, 장안읍 임랑리 44-4번지에 곰솔 2그루, 연제구 거제 2동 800번지에 곰솔 1그루가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다.

[형태]

곰솔은 높이 15~30m까지 자라고, 소나무와 비슷한 형태를 띠고 있다. 잎은 소나무와 같이 2개씩 속생(束生)하며 소나무 잎보다 길고 거칠다. 꽃은 암꽃과 수꽃이 나눠 피는데, 암꽃은 새 가지의 끝 부분에 1~5개씩 달리며, 수꽃은 새 가지의 밑부분에 달린다. 나무껍질은 흑갈색으로 세로로 길쭉한 그물 형태로 갈라진다. 종자는 타원형으로 날개에 붙어 있다.

[생태]

곰솔은 보통 바닷바람이 많은 바닷가 숲에 흙이 깊고 비옥한 땅에서 잘 자라는 나무다. 해풍에 강한 내염성(耐鹽性) 수종으로 바닷바람이 심한 곳에서 바람을 막기 위해 방풍림으로 식재하기도 한다. 내건성(耐乾性)이 강한 편이나 석회암 토양에는 부적당하다. 생장 속도와 내공해성은 중간이며 소나무보다 이식이 용이하다. 지구상에서는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에서 자란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와 다도해의 각 섬, 전라남도, 전라북도, 경상남도와 경상북도, 충청남도, 경기 해안 등지의 해발 550m 이하에서 잘 자란다. 부산광역시는 바다를 접하고 있어 바닷바람이 강한 곳이 많으며, 염분 함량이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편이다. 이러한 환경에도 잘 견디는 수종이 곰솔로 부산이 가진 생태적 특성에 적합한 나무이다.

[역사/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기장군은 곰솔이 ‘군의 무궁한 발전과 군민의 기상을 상징한다’고 여겨 1995년 3월 1일 군목으로 지정하였다. 또한 부산광역시 서구는 1991년 ‘상록 교목으로 송도를 비롯한 부산 지방에서 많이 자생하고 있으며 빛[常綠]·소리[風聲]·모양(模樣]·그림자[月]·향기[松香]를 다섯 가지 아름다움으로 꼽고, 영원불멸을 상징하므로 아름답고 살기 좋은 서구 발전과 늠름한 서구민의 기상을 상징’한다는 의미에서 구목으로 선정하였다. 부산광역시 수영구에는 천연기념물 제270호로 부산 좌수영성지 곰솔이 지정되어 있고 해풍과 도심 공해에도 강하며, 토박한 땅에도 잘 자라는 나무이므로 1995년 1월 1일 구목으로 선정하였다.

부산광역시 영도구는 1990년 7월 1일 곰솔을 구목으로 선정하였다. 선정 이유는 첫째 바닷바람에 잘 견뎌 해변가 등지에 자생하는 수목이며, 둘째 남성다운 씩씩한 기상과 꿋꿋한 절개로 어떠한 어려움도 헤쳐 나가는 장부의 기개를 상징하며, 셋째 강한 생명력을 가지고 스스로 번식해 가려는 생명의 의지를 가진 나무라는 이유에서이다.

[참고문헌]
  • 김용식·송근준·안영희·오구균·이경재·이유미, 『조경 수목 핸드북』(광일문화사, 2000)
  • 이창복, 『원색 대한 식물도감』(향문사, 2003)
  • 최송현, 「최송현의 숲과 나무」(『경남 도민 일보』, 2003)
  • 부산광역시 기장군청(http://www.gijang.go.kr)
  • 부산광역시 서구청(http://www.bsseogu.go.kr)
  • 부산광역시 수영구청(http://www.suyeong.go.kr)
  • 부산광역시 영도구청(http://www.yeongdo.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