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9076 |
---|---|
한자 | 鎭內- |
영어의미역 | Jinnae Village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 진내 마을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주경업 |
성격 | 자연 마을 |
---|---|
변천 시기/일시 | 1906년 - 동래군 사중면 구룡동에서 동래부 사중면 동삼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10년 - 동래부 사중면 동삼동에서 부산부 사중면 동삼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44년 - 부산부 사중면 동삼동에서 부산부 사중면 동산정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47년 - 부산부 사중면 동산정에서 부산부 사중면 동삼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49년 - 부산부 사중면 동삼동에서 부산시 사중면 동삼동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51년 - 부산시 사중면 동삼동에서 부산시 영도출장소 동삼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57년 - 부산시 영도출장소 동삼동에서 부산시 영도구 동삼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63년 - 부산시 영도구 동삼동에서 부산직할시 영도구 동삼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 부산직할시 영도구 동삼동에서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으로 개편 |
자연 마을 | 진내 마을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 진내 마을 |
[정의]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 중리에 있었던 자연 마을.
[명칭 유래]
1881년(고종 18)부터 1895년(고종 32)까지 15년간 절영도진 첨절제사영이 설치되어 있던 마을이라 하여 진내(鎭內) 마을이라 불렀다.
[형성 및 변천]
진내 마을의 명확한 형성 시기는 알 수 없으나, 1881년 절영도진 첨절제사영이 설치되었다가 1895년 폐지된 이후 진터에 있던 민가를 합쳐 진내 마을로 불렀다고 한다. 마을이 속한 동삼동은 1906년(고종 43) 동래부 사중면 동삼동이 되고, 1910년 부산부 사중면에 속하였다. 1944년 동산정(東山町)으로 개편되었고, 1947년 광복으로 다시 동삼동이 되었다. 1949년 부산부가 부산시로 개칭되었고, 1951년에는 영도출장소에 속하였으며, 1957년 영도출장소가 영도구로 승격하였다. 1963년 부산직할시로 승격하였으며, 1995년에는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여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속하였다.
[자연 환경]
진내 마을은 북쪽의 봉래산과 남쪽의 태종산에서 연결된 산자락에 위치한 만입부에 있던 마을로, 남동쪽으로 바다와 접한다. 마을 앞 만입부에는 모래 해안이 펼쳐져 있고, 만의 양 옆 해안가로 돌출한 곶은 암석 해안이다. 마을 앞 바다는 어장으로 이용된다.
[현황]
진내 마을은 현재의 부산남고등학교가 자리한 곳에 있었던 마을로, 도시화가 진행되며 옛 흔적은 찾을 수 없으나, 마을 북쪽의 봉래산 둘레길을 진내길로 명명하여 그 위치를 짐작하게 한다. 현재는 아파트 단지와 학교가 들어서 있으며, 남쪽 해안에는 중리 선착장이 있고, 해안을 따라 해안 산책길이 조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