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8963 |
---|---|
한자 | 土城洞一-二-三-四-五街 |
영어의미역 | Toseong-dong 1-ga, 2-ga, 3-ga, 4-ga, 5-ga |
이칭/별칭 | 토성동,,토성동 1가,토성동 2가,토성동 3가,토성동 4가,토성동 5가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서구 토성동 1가|토성동 2가|토성동 3가|토성동 4가|토성동 5가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기혁 |
[정의]
부산광역시 서구에 속하는 법정동.
[개설]
토성동(土城洞)은 일제 강점기 일본인 거주가 확대되고 6·25 전쟁을 거치며 피난민이 유입되어 인구가 급증하면서 5개의 법정동으로 분할되었다. 이후 상업 및 업무 기능이 집중하는 도심지로 성장하면서 주거 인구가 감소함에 따라 행정 구역을 통폐합, 충무동 1·2·3가와 합쳐 행정동인 충무동의 관할 하에 있다.
[명칭 유래]
토성동이란 지명은 이곳에 있던 토성(土城)에서 유래한다. 토성은 아미동(峨嵋洞)에 있던 화장장 부근을 중심으로 아미골 아래쪽에 반월형으로 축조된 성으로. 현재의 경남중학교 부근에 해당된다. 축조 양식이 반월형인 것으로 보아 신라 또는 가야 시대 성으로 추정된다.
[형성 및 변천]
조선 후기 동래부 사하면 구초량리에 속한 지역인데, 1866년(고종 3) 동래군 사하면 부민리에 속하였다가 1896년(고종 33) 부산부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부민동 일부를 분할하여 토성정 1정목·토성정 2정목·토성정 3정목이라 하였고, 1947년 토성동 1가·토성동 2가·토성동 3가로 개칭하였다. 1951년 서구출장소가 설치되고, 1957년 구제 실시로 서구가 되었다. 1959년 부산시 동계 개편으로 초장동 1가·초장동 2가를 병합하여 각각 토성동 4가·토성동 5가로 하였다. 1963년 부산직할시 서구가 되었으며, 1995년 부산광역시 서구가 되어 현재에 이른다. 1998년 10월 1일 행정동 통폐합에 따라 충무동에 편입되고 현재 법정동 명칭만 남아 있다.
[자연 환경]
서구의 중앙에 위치하여 동쪽은 중구 부평동, 서쪽은 아미동, 남쪽은 충무동, 북쪽은 부민동과 접한다. 서구의 서부 산지에서 발원한 보수천이 토성동의 북부 지역을 지나 남항에 유입한다. 보수천이 복개되기 전 토성동 구간에는 부평동과 왕래할 수 있는 사안교라는 다리가 있었다.
[현황]
현재의 부산대학교병원 앞에서 보수천까지의 지역으로 대부분 평지로 구성되어 있다. 인근 아미동과 부민동에 부산대학교병원과 동아대학교 부민캠퍼스 등이 입지해 있다. 토성동 1가에는 한전 관리 본부와 중부산 지점이, 토성동 2가에는 기독교 사회 복지관과 토성초등학교, 토성동 3가에는 경남중학교가 있다. 토성동 1·2·3·4·5가는 행정동인 충무동 관할하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