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용동 1·2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938
한자 芙蓉洞一-二街
영어의미역 Buyong-dong 1-ga, 2-ga
이칭/별칭 부용동,부용동 1가,부용동 2가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서구 부용동 1가|부용동 2가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기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법정동
개설 시기/일시 1914년 - 중도정이 됨
변천 시기/일시 1947년연표보기 - 중도정이 부용동으로 개칭
변천 시기/일시 1951년 - 서구출장소 관할
변천 시기/일시 1957년 - 서구출장소가 서구로 승격
변천 시기/일시 1963년 - 부산시가 부산직할시로 승격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며 부산광역시 서구 부용동 1·2가가 됨
법정동 부용동 1·2가 - 부산광역시 서구 부용동 1·2가

[정의]

부산광역시 서구에 속하는 법정동.

[개설]

부용동(芙蓉洞)은 일제 강점기 일본인 거주가 확대되며 부민리에서 분할되었고, 1924년 경상남도청이 이전하며 급속하게 성장하여 2개의 법정동으로 분할되었다. 이후 상업 및 업무 기능이 집중하며 인구 감소가 발생하여 행정 구역 통폐합으로 부민동 1·2·3가와 합쳐지며 행정동인 부민동 관할 하에 있다.

[명칭 유래]

부용동이란 이름은 이곳에 부용화가 많이 피어 있어서 유래되었다고 전해진다. 이 지역이 원래 행정 구역상 부민동에 속하였다가 분리되면서 부민의 ‘부’와 부를 상징하는 부용화를 동시에 고려하여 만든 지명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형성 및 변천]

부용동은 본래 동래부 사하면 구초량리 지역인데, 1866년(고종 3) 동래군 사하면 부민리에 속하였다가 1896년(고종 33) 부산부에 편입되었다. 국권 피탈 후 1914년 부산부 중도정(中島町)[시약산에서 발원한 소하천과 아미골에서 발원한 소하천이 이 지역을 양쪽으로 감싸고 흐르며 보수천으로 흘러들어 마치 섬처럼 보여서 붙여진 지명이라고 전함]이라 호칭하였다. 1924년 경상남도 도청이 진주에서 이 지역으로 이전해 오면서 여관과 음식점 등이 밀집하며 급속히 발전하였다. 1947년 부용동이라 하였다. 1951년 서구출장소가 설치되었고, 1957년 구제 실시로 서구가 되었으며, 1963년에는 부산직할시 서구가 되었다. 1995년 부산광역시 서구 부용동이 되었으며, 1998년 10월 1일 행정동 통폐합에 의해 부민동에 편입되고 현재 법정동 명칭만 남아 있다.

[자연 환경]

서구의 중앙에 위치하여 동으로 중구 보수동, 서로는 서대신동, 남으로 부민동, 북으로 동대신동과 접한다. 시약산에서 발원한 소하천이 서대신동 중앙 지대를 거쳐 현 부민초등학교 뒤쪽을 돌아 보수천으로 빠지는 냇물과, 아미 골짜기에서 발원한 소하천이 지금의 토성중학교 뒤쪽을 거쳐 보수천으로 흐르는 냇물 등의 작은 지류들로 인해 이 일대가 시냇물에 둘러싸인 섬처럼 보였으나 지금은 대부분 복개되었다.

[현황]

관내에 부산중부산등기소가 있다. 2001년 부산 법원 종합 청사가 거제동으로 이전하기 전까지 부산지방법원 소년부지원이 있었다. 2003년 옛 법원종합청사 자리에는 동아대학교 부민캠퍼스가 이전하였다.부용동 1·2가는 행정동인 부민동 관할하에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8.03.14 2018년 현행화 현황 서술 추가 : 2003년 옛 법원 종합 청사 자리에는 동아대학교 부민캠퍼스가 이전하였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