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602
한자 紅門間-
영어의미역 Hongmungan Village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교리 홍문간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공태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변천 시기/일시 1895년 - 기장군 동면 교동에 속함
변천 시기/일시 1914년 - 기장군 동면 교동에서 동래군 기장면 교리로 편입
변천 시기/일시 1973년 - 동래군 기장면 교리에서 양산군 기장면 교리로 편입
변천 시기/일시 1980년 - 양산군 기장면에서 양산군 기장읍으로 승격
변천 시기/일시 1986년 - 양산군 동부출장소 관할이 됨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양산군 동부출장소 관할에서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교리로 편입
자연 마을 홍문간 마을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교리 30 일대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교리에 있었던 자연 마을.

[명칭 유래]

홍문간(紅門間) 마을은 기장 향교 홍살문 부근에 있는 마을이라서 붙여진 이름이다. 홍문(紅門)은 능·원·묘·궁전·관아 등의 정면에 세운 붉은 칠을 한 문으로, 둥근 기둥 두 개를 세우고 위에는 지붕 없이 붉은 살을 죽 박았기 때문에 홍살문이라고도 부른다.

[형성 및 변천]

홍문간 마을의 형성 시기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지만, 1617년(광해군 9)기장 향교가 건립되면서 형성된 마을로 추정된다. 홍문간 마을에 대해서는 기록상에서 확인되는 바가 없으나, 홍문간 마을이 속한 지역은 『호구총수(戶口總數)』[1789]에 기장현 동면 고성리(古城里)로 기재되어 있다. 1895년 기장군 동면 교동(校洞), 1914년 동래군 기장면 교리에 속하였다. 1973년 기장면은 경상남도 양산군에 통합되었다가, 1980년 양산군 기장면양산군 기장읍으로 승격되며 양산군 기장읍 교리에 속하였다. 1986년 양산군 동부출장소 관할이 되었으며, 1995년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교리 홍문간 마을이 되었다.

[자연 환경]

홍살문 마을은 기장 향교 정문의 서쪽 구릉지에 위치한 마을로, 주변 산세는 북서쪽이 높고 동남쪽이 낮다. 마을의 북서쪽으로는 일광산이 있고, 서쪽으로는 셋드산이 있다. 마을 남서쪽과 북서쪽에는 산성골·물밭골·뒷밭들·앞논들 등 들과 골짜기가 있어 농경지로 이용되고 있다.

[현황]

일부 주민이 농업에 종사한다. 자연 마을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주변은 도시화가 이루어져 주택, 아파트 단지, 상업지 등으로 번화가가 되었다. 향교 입구에 세워져 있던 홍살문은 동쪽의 것은 상부가 깨진 채 홍살문 대만 남아 방치되고 있다가 최근 향교 뒤로 옮겨졌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