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8512 |
---|---|
한자 | 蓮龜本洞- |
영어의미역 | Yeongubon Village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연구리 연구본동 마을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전영섭 |
성격 | 자연 마을 |
---|---|
변천 시기/일시 | 1895년 - 기장군 상서면 연구동 |
변천 시기/일시 | 1914년 - 경상남도 기장군 상서면 연구동에서 경상남도 동래군 철마면 연구리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73년 - 경상남도 동래군 철마면 연구리에서 경상남도 양산군 철마면 연구리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86년 - 경상남도 양산군 철마면 연구리에서 경상남도 양산군 동부출장소 철마면 연구리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 경상남도 양산군 동부출장소 철마면 연구리에서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연구리로 개편 |
자연 마을 | 연구본동 마을 -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연구리 연구본동 마을 |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연구리에 있는 자연 마을.
[명칭 유래]
연구리는 연봉리에서 연(蓮) 자를 따고, 구림리에서 구(龜) 자를 따서 생긴 이름이다. 연구본동(蓮龜本洞)은 연구리의 본 마을이라는 뜻이다. 옛날 연구본동 마을에는 연못이 있었고, 연꽃이 만발한 연못에 거북이 살고 있어 연구(蓮龜)라고 불렀다고 전한다.
[형성 및 변천]
마을의 형성 시기는 알 수 없으나 김씨, 오씨, 차씨, 배씨, 송씨 등이 정착하여 마을을 이루었다고 한다. 조선 전기 연구본동 마을에는 연구사(蓮龜寺)라는 절이 있었고, 그 주변에 민가가 80여 가구 있었으나 화재가 나면서 10여 가구가 이웃 마을인 마지 마을 등으로 이주하였다 한다. 「차성가(車城歌)」에 “북당(北堂)의[에] 축수(祝壽)하니 연구(蓮龜)가 분명하다”라고 하여 연구란 지명이 나온다. 1904년(고종 41) 간행된 『경상남도 기장군 가호안』에 의하면, 당시 기장군 남면 연구동(蓮龜洞)에는 5호가 살고 있었다. 집은 모두 초가 3칸이다. 5호 가운데 4호가 오씨이고, 송씨가 1호이다.
1914년 지방 제도 개편에 따라, 경상남도 기장군 상서면 마지동·연구동과 대곡동 일부가 합쳐져서 동래군 철마면 연구리가 되었다. 1973년 동래군이 양산군에 병합되면서 양산군 철마면에 속하였다가, 1986년 양산군 동부출장소가 설치되며 그 관할이 되었다. 1995년 부산광역시로 편입되면서 기장군의 복군으로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연구리 연구본동 마을이 되어 오늘에 이른다.
[자연 환경]
연구본동 마을 북쪽에 마을 뒷산인 연봉산(連峰山)이 있고, 동쪽으로는 철마천[일명 장전천]이 흐른다.
[현황]
연구본동 마을은 기장군 철마면 연구리 456번지 일대에 있는 자연 마을이다. 보림 마을에서 마지 마을로 들어가다 보면 마지교가 나온다. 거기에서 갈림길이 있는데 그 때 왼쪽으로 계속 가다 보면 나오는 오른쪽 첫째 동네가 연구본동 마을이다. 큰 팽나무가 있고 나무 아래에는 마을 공동 우물이 있다. 옛날에는 60가구 정도가 사는 큰 마을이었으나 지금은 10가구 정도로 줄었다고 한다. 마을 회관은 구림 마을 회관을 함께 사용하고 있다. 주업은 농업이며, 예부터 전 농가가 잠업을 겸하였다. 기장군 철마면에서 부자들이 사는 동네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