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489
한자 蘇亭-
영어의미역 Sojeong Village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내리 소정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공태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변천 시기/일시 1895년 - 기장군 남면 내동에 속함
변천 시기/일시 1914년 - 동래군 기장면 내리에 속함
변천 시기/일시 1973년 - 경상남도 양산군 기장면 내리에 속함
변천 시기/일시 1980년연표보기 - 기장면이 기장읍으로 승격
변천 시기/일시 1986년 - 양산군 동부출장소 관할
변천 시기/일시 1991년 - 소정 1리 분리, 용소 마을과 통합해서 소정 2리 신설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광역시에 편입되며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내리 소정 마을이 됨
자연 마을 소정 마을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내리 소정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내리에 있는 자연 마을.

[명칭 유래]

소정(蘇亭) 마을은 마을과 논밭으로 개척되기 전에 해송이 우거져 있어 솔정이라 하였다. 소정의 소(蘇)는 소나무의 음사이고, 정(亭)은 평평할 정으로 소나무가 평지에 숲을 이루고 있는 곳이라는 의미이다. 이곳 방언으로 솔정을 소정이라 불렀으므로 그 소리대로 소정이라 한 것이다.

[형성 및 변천]

소정 마을의 형성 시기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지만, 인근 지역에서 부산~울산 간 고속 도로 건설 당시 17세기 후반의 유물[백자편, 흑유 자기 편, 옹기 편, 폐기 구덩이 3개소, 주혈 4개소 등]이 출토되어 오랜 거주 역사를 짐작할 수 있다. 조선 전기 때로 추정된다. 소정 마을이 속한 내동은 조선 후기 기장현 남면 석산방에 속하였으며, 1895년(고종 32) 기장군 남면 내동이 되었고, 1914년 동래군 기장면 내리소정 마을이 되었다.

1973년 경상남도 양산군에 편입되었으며, 1980년 기장면기장읍으로 승격하였고, 1986년 양산군 동부출장소 관할이 되었다. 1991년 본래 소정 마을은 행정리로 소정 1리가 되었고, 군용지로 흡수되며 사라진 백동 마을과 용소 마을이 있던 부지를 합쳐 소정 2리가 되었다. 1995년 부산광역시에 편입되면서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내리 소정 마을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마을의 북쪽으로 길게 산지가 나타나고, 마을은 산 사면을 따라 발달해 있다. 마을 서쪽에 봉우리가 둥근 소뚜배기산[98.9m]이 있고, 마을 남쪽으로 하천이 흘러간다.

[현황]

해운대구 송정동과 경계를 이루고 있는 마을로, 옛날 삼양라면 공장이 있었다. 마을의 동쪽으로 기장 대로가 지나가고, 부산~울산 간 고속 도로가 마을을 남북으로 가로 지르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