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8456 |
---|---|
한자 | 屛山- |
영어의미역 | Byeongsan Village |
이칭/별칭 | 비단골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병산리 병산 마을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허모종 |
성격 | 자연 마을 |
---|---|
변천 시기/일시 | 1895년 - 기장군 하북면 병산동에 속함 |
변천 시기/일시 | 1914년 - 동래군 정관면 병산리에 속함 |
변천 시기/일시 | 1973년 - 동래군이 폐군되면서 경상남도 양산군에 편입 |
변천 시기/일시 | 1986년 - 양산군 동부출장소 관할 |
변천 시기/일시 | 1980년대 - 북서쪽 박달 마을이 폐쇄되며 병산 마을로 통합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 부산광역시에 편입되며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면 병산리 병산 마을이 됨 |
변천 시기/일시 | 2005년 - 북쪽에 있던 널밭 마을이 해운대 컨트리클럽 부지에 포함되며 폐쇄되어 병산 마을로 통합 |
자연 마을 | 병산 마을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병산리 병산 마을 |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병산리에 있는 자연 마을.
[명칭 유래]
옛 이름은 비단골로, 아름다운 산이 마을을 병풍처럼 둘러 쳐놓은 모습 때문에 병산(屛山)이라고 하였다.
[형성 및 변천]
병산 마을은 조선 시대로 추정되는 병산리 백자 요지(屛山里白磁窯址)가 있어 오랜 거주 역사를 짐작하게 한다. 마을에 대한 기록은 확인할 수 없으나, 마을이 속한 병산리는 조선 후기 기장현 하북면 산막방에 속하였으며, 『호구총수(戶口總數)』[1789]에는 동명이 확인되지 않는다. 1895년(고종 32) 동래부(東萊府) 기장군 하북면 병산동이 되었고, 1914년 동래군 정관면 병산리가 되었다. 1973년 동래군이 폐군됨에 따라 경상남도 양산군에 편입되었다가 1986년에 양산군 동부출장소 관할이 되었다.
1980년대 마을 북서쪽에 있던 박달 마을이 시가지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있다는 불편 때문에 폐쇄되고 현재의 마을로 옮겨 왔다. 1995년 부산광역시에 편입되며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면 병산리 병산 마을이 되었다. 정관 신도시 개발에서 제외된 지역이지만, 2005년 해운대 컨트리클럽이 들어서며, 현재 마을의 북쪽에 있던 널밭 마을 구역에 포함되어 철거되었다.
[자연 환경]
동쪽의 석은덤[543m]과 북쪽의 산지, 북서쪽의 방산재 등 사방이 산지로 둘러싸여 있으며, 사방의 산지에서 흘러내린 소하천이 남서쪽의 좁은 계곡으로 흐르며. 기장에서 가장 긴 좌광천의 상류를 형성한다. 병산 마을의 북서쪽 골짜기는 그 풍광이 수려하여 예부터 비단골 또는 금동(錦洞)으로 불렸으며, 좌광천의 발원지이다. 마을의 남서쪽으로 들이 있었는데, 1942년 병산 저수지가 만들어지면서 대부분 수몰되었다. 마을 남서쪽에 병산 저수지가 있다.
[현황]
병산 마을은 북서쪽 산지에 해운대 컨트리클럽이 들어서 있으며, 마을을 남서에서 북동으로 관통하는 병산로가 인접한 용수리와 북서쪽의 해운대 컨트리클럽까지를 연결하고 있다. 마을 남서쪽 병산 저수지 아래와 북서쪽 컨트리클럽 입구 쪽에는 많은 식당이 영업을 하고 있다. 최근 전원 주택지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먹거리 촌으로도 이름이 나 주말이면 휴양객이 늘어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