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매박골 마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432
영어의미역 Maebakgok Village
이칭/별칭 응암곡(鷹岩谷) 마을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내리 매박골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공태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변천 시기/일시 1914년 - 동래군 기장면 내리 매박골 마을
변천 시기/일시 1973년 - 경상남도 양산군 기장면 내리 매박골 마을
변천 시기/일시 1980년연표보기 - 기장면이 기장읍으로 승격
변천 시기/일시 1986년 - 양산군 동부출장소 관할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광역시에 편입되며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내리 매박골 마을이 됨
자연 마을 매박골 마을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내리 매박골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내리에 있는 자연 마을.

[명칭 유래]

매바위골 밑에 있는 마을이라서 매박골 또는 매바골이라 불렀다. 응암곡(鷹岩谷) 마을이라고도 한다.

[형성 및 변천]

매박골 마을은 매박골에 인접하여 붙여진 이름인지 마을이 있어 붙여진 골짜기 이름인지에 대해서도 의견이 분분할 만큼 형성 시기에 대해서 알려진 바가 없다. 그러나 앵림산 깊은 계곡 안쪽에 위치한 내동 마을에 속한 마을이고, 내동천 상류에 신라 시대 때 창건된 안적사가 위치한 것으로 미루어 오랜 거주 역사를 추정할 수 있다.

매박골 마을에 대한 기록은 확인할 수 없으나, 마을이 속한 지역은 『경상도읍지(慶尙道邑誌)』[1833]에 기장현 남면 석산방(石山坊)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1895년(고종 32) 기장현 남면에 속하였고, 1914년 동래군 기장면 내리 매박골 마을이 되었다. 1973년 경상남도 양산군에 편입되었으며, 1980년 기장면기장읍으로 승격하였다. 1986년 양산군 동부출장소 관할이 되었다가, 1995년 부산광역시에 편입되며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내리 매박골 마을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앵림산[장산] 깊은 골짜기에 위치한 마을로, 남쪽의 아홉 산골 등 사방이 산으로 둘러 싸여 있다. 마을은 남동으로 뻗은 좁은 골짜기를 따라 발달해 있으며, 북동쪽의 좁은 계곡을 따라 내동천이 동쪽으로 흘러 송정천으로 유입된다. 마을 남쪽 산지에는 매바우[위]가 높게 솟아 있는데, 이곳에 매가 새끼를 쳤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매박곡 밑에 있는 들이 매바웃들이다.

[현황]

내동 마을은 부산~울산 간 고속 도로에서 서쪽으로 안적사로 가는 도로를 따라 오다 보면, 오신 마을내동 마을을 지나면 있다. 마을 주민은 남동쪽과 북서쪽으로 좁은 골짜기를 따라 있는 경지에서 농사를 짓는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