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8419 |
---|---|
한자 | 東部- |
영어의미역 | Dongbu Village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동부 마을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공태도 |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에 있는 자연 마을.
[명칭 유래]
동부(東部)라는 지명은 조선 시대 이곳에 있던 ‘동부방(東部坊)’에서 비롯되었다. 현재 기장초등학교 자리인 동헌(東軒)에서 남문 방향으로 주도로를 만들고 길의 동쪽은 동부방(東部坊), 서쪽은 서부방(西部坊)이라 이름 붙였다고 전한다.
[형성 및 변천]
동부 마을은 옛날 기장현청인 동헌 동쪽에 있던 성내 마을로, 1356년(공민왕 5) 기장현청이 건립될 때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시대에는 읍내면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호구총수(戶口總數)』[1789]에는 기장현 읍내면 동부방(東部坊)으로 나타난다. 1895년(고종 32) 기장군 읍내면 동부동(東部洞)이 되었다가, 1914년 동래군 기장면 동부리 동부 마을이 되었다. 1973년 경상남도 양산군에 편입되었으며, 1980년 기장면이 기장읍으로 승격하였다. 1986년 양산군 동부출장소 관할이 되었다가 1995년 부산광역시에 편입되며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동부 마을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1990년대 토지 구획 정비 사업 지구로 지정되며 공동 주택[아파트, 연립 주택]이 들어서 있다.
[자연 환경]
서쪽은 성산[368m]과 수령산[368m]을 중심으로 한 높은 산지가 있고, 북동쪽으로는 나지막한 모산[101m]이 있어 전반적으로 서쪽과 북쪽이 높다. 북서쪽의 산지에서 발원하여 만화리를 거쳐 흐르는 만화천이 북쪽으로 흐르며, 대부분의 구간이 복개되어 있으나 서쪽 산지의 용소못에서 내려오는 용소천[서부천]과 남서쪽 산지에 있는 사라못에서 흘러내리는 사라천이 마을 동쪽에서 합류해 죽성리 앞바다로 유입된다. 마을은 평지 쪽에 위치해 있다.
[현황]
동부 마을은 동부리 290번지 일대이다. 마을 중앙으로 차성로가 남북으로 관통하며, 직교형의 도로망이 사방으로 발달해 있다. 동부리의 본 마을로 동헌·객사·장관청[조선 시대 기장현 군장관(軍將官) 집무처]이 있었고, 태정대(太停臺)[작은 소나무 숲으로 신라의 태종무열왕이 동래 온천으로 가던 중 잠시 멈춰 쉬었다고 붙여진 이름]가 있다. 현재는 시가지화가 진행되어 공동 주택과 상가가 늘어서 있으며 마을 내에 기장초등학교가 있다.
태정대는 동부 근린공원이 되었으며, 동헌은 현재 허물어져 터만 남아 있다. 기장 장관청은 기장군 내에서 현존하는 유일한 조선 시대 관아 건물이나, 현재 일반 주택으로 사용되고 있어 훼손이 심한 상태이다. 장관청은 1919년 3·1 운동 때 기장 청년들이 모여 거사한 곳이며, 이어 항일 운동 단체였던 명정의숙의 학당으로 사용하였다. 장관청 앞에 수령 약 900년으로 추정되는 회나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