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8385 |
---|---|
한자 | 吉川- |
영어의미역 | Gilcheon Village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길천리 길천 마을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맹인섭 |
성격 | 자연 마을 |
---|---|
변천 시기/일시 | 1681년 - 기장군 상북면 하미면 |
변천 시기/일시 | 1895년 - 기장군 상북면 길천동 |
변천 시기/일시 | 1914년 - 동래군 장안면 길천리가 됨 |
변천 시기/일시 | 1973년 - 동래군 장안면 길천리에서 경상남도 양산군 장안면 길천리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85년 - 경상남도 양산군 장안면 길천리 길천 마을에서 경상남도 양산군 장안읍 길천리 길천 마을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 경상남도 양산군 장안읍 길천리 길천 마을에서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길천리 길천 마을로 개편 |
자연 마을 | 길천 마을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길천리 길천 마을 |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길천리에 있는 자연 마을.
[명칭 유래]
길천(吉川) 마을은 질고지[마을 북쪽의 들]와 질곶이천[들을 흐르는 소하천]과 연관된 지명으로 추정된다. ‘질’은 ‘길’의 사투리이기 때문에 길(吉)이 되었고, ‘천’은 소리 나는 대로 차음하여 천(川)자를 따서 길천이라 불렀다.
[형성 및 변천]
길천 마을은 임진왜란 때 박씨·이씨·윤씨·서씨가 피난을 와서 정착하며 마을을 이루기 시작하였다고 전한다. 당시는 울산군 상북면 하미면에 속하였다. 1681년 기장군에 속하였다가 1895년(고종 32) 5월 26일 을미개혁으로 기장군 상북면 길천동이 되었다. 『경상남도 동래군 가호안』[1904]에는 상북면 길천동에 이씨·임씨 각 2호, 구씨·권씨·김씨·박씨·백씨·신씨·한씨가 각 1호로 11호가 살고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1914년 3월 1일 지방 제도 개편으로 동래군 장안면 길천리의 하근 마을이 되었다가, 1973년 7월 1일 동래군의 폐군으로 경상남도 양산군에 속하였으며, 1985년 10월 1일 장안면이 장안읍으로 승격함에 따라 양산군 장안읍 길천리 길천 마을이 되었다. 1995년 3월 1일 부산광역시에 편입되며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길천리가 되었다.
[자연 환경]
길천 마을의 북쪽[현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과 경계하는 곳] 해안가 쪽에 2㎞가량의 길고 넓은 질고지들이 펼쳐져 있고, 질곳이천이 흘러간다. 서쪽으로 장안천이 흐르며, 동쪽에는 봉화산이 있고, 남쪽은 동해에 접해 있다.
[현황]
길천 마을에는 영산 신씨(靈山辛氏) 효열문회(孝烈門會) 재실인 모선재(慕先齋)와 월성 이씨(月城李氏) 재실인 추모재(追慕齋)가 있다. 당산은 1차 고리 원자력 발전소 부지에 편입된 후 길천리 산22-5번지에 이전하였으며, 매년 음력 정월 14일 자정에 제를 지내고 있는데, 2차 고리 원자력 발전소 부지에 편입되어 이전이 요구된다. 공공시설로는 월내초등학교 및 병설 유치원, 월내우체국 등이 있고, 길천 기공, 길천 야적장, 길천 선착장 등이 있다. 마을의 동쪽에 고리 원자력 발전소가 있으며, 북쪽에는 한국수력원자력 고리원자력본부에서 건립 개관한 스포츠 문화 센터와 해수탕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