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7000
한자 電車
영어의미역 Streetcar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집필자 표용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일제 강점기 - 부산의 전차 개과
부산 전차 - 부산광역시

[정의]

1915년부터 1968년까지 부산 시내를 운행한 대표적인 대중교통 수단.

[개설]

전차는 힘을 동력으로 하여 궤도 위를 달리는 차량으로, 부산에 처음 등장한 근대적인 교통수단이다. 전기는 1885년 말 경복궁(景福宮) 건청궁(乾淸宮)에서 점등식을 거행한 이후, 1902년 부산전등주식회사(釜山電燈株式會社)가 현재의 부산광역시 광복동 거리에 가로등을 밝히면서 도입되었다. 1915년 부산우편국에서 온천장 입구 사이의 전차 선로가 부설되고, 기존의 철로 개량 공사가 완공되어 11월 1일부터 경편 열차와 전차가 겸용하여 운행되면서 부산에서 전차가 본격적으로 운행되기 시작했다. 이후 여러 차례 전차 노선이 연장·개통되어 운행되다가, 1968년 5월 19일 마지막 운행을 끝으로 전차 운행이 폐지되었다.

[내용]

1910년 10월 18일 창립한 한국가스전기주식회사(韓國瓦斯電氣株式會社)가 12월 28일 부산전등주식회사와 1911년 12월 28일 부산경편궤도주식회사의 영업권을 인수하고, 1913년 3월 29일에는 조선와사전기주식회사로 개칭하면서 시설 확장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게 되었다.

1915년 부산진에서 초량 구간, 초량에서 부산우편국 구간, 부산진에서 온천장 입구 구간의 전차 선로가 완성되면서, 10월 31일 부산우편국에서 온천장 입구까지 12.8㎞ 전 구간이 완전 개통되었다. 이에 11월 1일부터 경편 열차와 전차가 겸용 운행되면서 본격적인 전차 운행이 시작되었고, 1916년부터는 전차만 운행하였다.

처음 전차가 달릴 당시만 해도 공중의 전기 케이블에서 방전된 불빛이 번쩍번쩍 나는 바람에 사람들은 그 불빛을 번갯불로 생각했었다. 이 때문에 당시 부산 사람들 눈에는 전차가 ‘쇠막대기로 전기를 잡아먹고 그 힘으로 달리는 괴물’로 비쳐졌고, 그래서 사람들은 전차를 두고 “전깃불 잡아먹고 달린다.”고 떠들어댔다고 한다.

1916년 9월 22일 대청정선(大廳町線)[부산역~대청로~토성동]이 개통되고, 1917년 12월 19일 장수통선(長手通線)[부산국~광복동~토성동]이 개통되어 부산의 전차는 총연장 19.5㎞가 되었다. 1924년 9월에는 부산진에서 부산역 사이의 철로가 복선화되었다. 1925년 9월에는 보수동에서 경상남도청을 거쳐 부용동까지 선로가 연장되었고, 1927년 10월 말에는 온천장까지 연장되어 운행하게 되었다. 1928년 9월에는 대신정선(大新町線)[부용동~공설 운동장]이 연장 개통되었다.

1933년 8월 9일에는 범일정선(凡一町線)[부산진~범일동]이 신설되었고, 1934년 7월에는 부평 공설 시장통 선로[보수동~부성교]가 폐지되고, 9월에는 토성동에서 공설 운동장 간 선로가 복선화되었다. 1935년 2월 목도선(木島線)[대교동~영도 다리~석견동]이 복선 개통되어 영도 대교를 지나 현재의 남항동 시장까지 운행되었다. 1935년 현재 시내 전차 노선 총연장은 21.715㎞이다.

1937년 조선가스전기주식회사 등 6개 전기 회사가 남선합동전기주식회사로 합병하였고, 1944년 무렵에는 소화통선(昭和通線)[구 부산시청 앞~충무동]을 신설하고 장수통선은 폐지되었다. 1946년 5월 29일에는 성남전기를 합병하여 남선전기주식회사로 개칭하였고, 1953년 무렵에는 대청동선[대청정선]이 폐지되었다.

1957년부터는 서면~공설 운동장, 서면~영도, 서면~온천장 등의 3개 노선이 운행되었다. 1961년 7월 1일 조선전업, 경성전기, 남선전기 등이 한국전력주식회사로 통합하였다. 1966년에 서면~공설 운동장 노선이 폐지되고, 온천장~공설 운동장 노선과 공설 운동장~영도 노선을 운행했다. 이 무렵 계속되는 적자와 선로의 노후화로 인해 한국전력주식회사에서는 전차 사업의 부산시 이관을 추진하였으나 성립되지 못하였다. 결국 1968년 제51차 이사회에서 전차 사업 폐지를 결의하게 되었다. 1968년 5월 17일에 전차 운행 폐지에 대한 교통 대책을 담은 부산시장 담화가 발표되었고, 5월 19일의 전차 운행을 마지막으로 전차 운행이 폐지되었다. 1969년 2월 23일 한국전력주식회사에서는 전차 객차 1량을 동아대학교에 기증하였고, 현재 동아대학교 부민캠퍼스 박물관 앞에 전시되어 있다.

[전차 노선도]

1938년도 부산 시내를 운행한 전차 노선도는 다음과 같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