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984
한자 釜山慶南代案敎育協議會
영어의미역 Busan Gyeongnam Alternative Education Council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로 144[명륜동 564-29] 명조 빌딩 3층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안경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교육 지원 기관
설립자 김복남[운영위원장]
전화 051-556-6785
설립 시기/일시 2007년 5월연표보기 - 설립
최초 설립지 부산경남대안교육협의회 - 부산광역시 금정구 남산동
현 소재지 부산경남대안교육협의회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로 144[명륜동 564-29] 명조 빌딩 3층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에 있는 부산과 경상남도 지역의 대안 교육 협의 단체.

[설립 목적]

부산경남대안교육협의회는 부산과 경상남도 지역의 대안 교육 관련 학교나 단체들이 서로 협동하여 운영에 대한 실질적인 도움을 주며 새로운 정보를 공유하고, 서로 교류하며 연대를 통해 대안 교육의 활성화와 교육 혁신에 기여하여 교육의 지평을 확대해 나가는 것이 목적이다.

[변천]

2007년 5월에 설립하여 2012년 7월 현재 6년차로 접어들며 현재는 공동 육아나 어린이집의 지속적인 참가의 어려움에 대해 논의 중이고, 가능하면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까지 교육의 연계선상에서 함께 가야한다는 원칙을 가지고 있다. 초창기에는 주로 단체를 중심으로 대표들이 참여했으나, 이후로는 대안 교육을 위해 열정을 가진 개인의 참여를 통해 협의회를 더욱 더 확장해 나가려고 노력하고 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크게 세 가지 활동을 하고 있다. 첫째는 운영 위원회 활동으로, 월 1회 활동 보고 및 주요 사업에 대한 논의와 결정을 한다. 여기에 단체의 대표가 참여하여 단체들의 활동 내용과 정보를 공유하고 함께 연대할 수 있는 행사나 공연을 기획한다. 둘째는 학부모·교사 교육으로 연간 2, 3회 정도로 연수 및 특강을 하고 있다. 그리고 세 번째는 매년 단체들의 연대를 위한 대안 교육 한마당 행사를 실시하여 특강이나 공연, 학교 안내 등을 한다. 그리고 전국대안교육연대의 한마당 행사에도 결합한다. 전국대안교육부모연대와도 연대하여 학부모와 교사 혹은 학교와의 소통을 통하여 서로의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일부 학교는 서로의 학습 프로그램이나 교육 과정을 공유도 하고 있고 협력 학습이나 교류 학습 또는 학교 탐방 등도 이루어지고 있다.

[현황]

2012년 현재 함께하는 단체로는, 공동 육아 어린이집 5곳[포구나무어린이집, 북구쿵쿵어린이집, 부산진구공동육아, 금정아이들세상, 캥마쿵쿵어린이집] 방과 후 학교 2곳[북구자유로운 방과후, 양산창조학교], 대안초등학교 3곳[사과나무학교, 꽃피는학교, 참빛학교], 중등학교 2곳[우다다학교, 온새미학교], 합천자연학교, 원모임[생활공동체연구회], 부산교육연구소[학교 현장 교사 중심의 연구소] 등이 참가하고 있고, 개인적으로도 대안 교육과 관련되는 학부모나 교사 등이 참여하고 있으며 각 단체가 매달 내는 회비와 간혹 있는 프로젝트 사업을 통한 지원금으로 운영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전국에서 처음으로 생긴 대안 교육 협의회이며, 이전의 대안 교육 협의체와는 달리 대안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단체까지 참여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 인터뷰(온새미학교 교사 박희옥, 2012. 7. 2)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