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6923 |
---|---|
한자 | 産業體附設學校 |
영어의미역 | Industry-affiliated School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안경식 |
[정의]
산업체에서 일하고 있는 근로 청소년들에게 배움의 기회를 부여하기 위해 설치된 부산 지역의 산업체 부설 학교와 특별 학급.
[개설]
산업체에서 경제 건설의 일익을 담당하고 있는 근로 청소년들에게 산업 현장에서 일하며 배울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줌으로써 산업 역군으로서의 긍지와 사기를 진작시키고, 산업체에는 양질의 인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산업체의 근로 청소년 교육을 위한 특별 학급 등의 설치 기준령’[대통령령 제8462호, 1977년 2월 28일]에 따라 1977년도에 산업체 부설 학교와 특별 학급이 설치되었다.
산업체 부설 학교는 상용 근로자 1,000명 이상의 법인격을 가진 산업체가 학급 편성 가능성 및 학년의 연속성을 고려하여 학교 법인의 설립 없이 교육부의 허가를 받아 산업체 내부에 부설 중·고등학교를 설치할 수 있으며, 산업체 특별 학급은 산업체 종업원 중 취학 희망자를 취학시키기 위하여 인근의 중·고등학교에 특별 학급을 설치하는 제도로 1977년도에 시작되었다.
산업체 부설 학교와 특별 학급의 입학 자격은 관계 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중학교 및 고등학교의 입학 자격자로서 산업체 근로자의 신분을 보유한 사람 중 희망자를 무시험에 의해 취학시키고 졸업 학력은 정규 학교와 동일하게 인정되며, 학비는 소속 산업체와 정부가 부담하도록 하였다.
[부산의 산업체 부설 학교]
1977년 3월에 구포여자상업고등학교와 부산진여자상업고등학교 등 2개 학교에 여자 상업 고등학교 과정의 특별 학급이 설치되었다. 또 같은 해 12월에는 여자 상업 고등학교 과정의 부설 학교가 삼화에 설치되었으며, 1979년 2월에는 태창기업의 부설 여자 상업 고등학교가 설립되는 등 섬유, 신발 등 노동 집약 산업이 발달된 부산의 산업 구조에 따라 산업체 학교가 계속 증설되었다. 1987년에는 10개의 특별 학급과 5개의 부설 학교가 운영되었고, 부산시장을 비롯한 각계 인사로 구성된 후원회도 발족되었다.
1980년도에는 공업계 남학생을 위한 산업체 특별 학급이 경남공업고등학교에 설치되었으며, 1987년에는 대학 진학을 원하는 근로 청소년을 위하여 일반계 고등학교인 금정여자고등학교와 강서여자고등학교에 특별 학급이 설치되었다. 1987년부터 1989년 사이는 근로 청소년 교육이 가장 활발하였던 시기로서 10개의 특별 학급과 5개의 부설 학교가 운영되었다. 이후 산업 구조의 변화로 학교 수와 학급 수가 점차 줄어들었으며, 대부분이 특성화 고등학교로 전환되었다. 2013년도에 유일하게 있었던 시온실업고등학교가 시온식품과학고등학교로 전환되면서 현재는 한 개도 남지 않게 되었다.
[평가와 의의]
산업체 부설 학교와 특별 학급은 부산 지역의 근로 청소년들이 고등학교 교육을 받음으로써 개인의 발전과 함께 산업체에 양질의 인력을 공급할 수 있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