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고등 공민학교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919
한자 高等公民學校
영어의미역 Higher Civil Education Center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안경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48년 1월 31일 - 고등 공민학교 규정

[정의]

부산 지역에 있었던 중학교 과정의 준(準) 교육 기관.

[개설]

고등 공민학교는 부산 지역에서 진학을 하지 못한 성년에게 중학교 단계의 보통 교육과 공민적 사회 교육, 직업 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설립한 사회 교육 기관이다. 우리나라의 고등 공민학교는 1948년 1월 31일 미군정 아래에서 문교부가 「고등 공민학교 규정」을 제정하여 실시하면서 정식으로 발족하였다. 이러한 고등 공민학교는 공민학교의 보수과를 개편한 것으로서, 초기에는 성인 교육 협회의 시·도 조직, 읍·면 분회의 조직, 유지 또는 독지가 등에 의한 구제적 성격을 띤 교육 기관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였다.

그러다가 1949년 「교육법」이 제정 공포되면서 고등 공민학교에 대한 법적 근거를 정식으로 마련하였다. 이에 따르면 고등 공민학교는 일반 성인에게 국민 생활에 필요한 초기 보통 교육과 공민적 사회 교육을 실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리고 중학교 교과 과정에 준하는 교육 내용을 제공하며, 수업 연한은 1년에서 3년까지로 공민학교나 초등학교 교육을 이수하고 중학교에 진학하지 못한 학령 초과자들을 교육 대상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고등 공민학교에 중학교에 준하는 교과를 두고 있었으나, 일반 중학교와 구별되는 점은 대체로 중학교로서의 시설 기준에 미치지 못한 점과 학생들이 3년의 과정을 마치더라도 고등학교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입학 자격 검정고시에 합격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따라서 대개의 고등 공민학교는 사회 교육 기관으로서 보다는 시설을 확충하여 정규 중학교나 여타 교육 기관으로 인가 받고자 하는 경향이 많았다.

고등 공민학교는 6·25 전쟁으로 일시 폐쇄되었으나, 1950년 후반부터 크게 증가하였다가 일시 감소를 거쳐 1960년대 다시 증가세를 보이다 1970년대부터 서서히 감소되기 시작하였다. 1960년대 고등 공민학교의 증가는 초등 교육은 어느 정도 정착되었으나 중학교 교육이 여전히 제한되어 고등 공민학교에라도 진학하여 중학교 교육을 받으려는 인구가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고등 공민학교의 감소는 1969년 이후 중학교 무시험 입학 제도의 확대와 생활 수준의 향상에 따라 고등 공민학교에 진학하고자 하는 학생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사립 고등 공민학교가 어느 정도 시설이 확충되면서 정규 중학교로 개편된 데에 그 원인이 있다.

[부산의 고등 공민학교]

부산의 고등 공민학교 특징은 모두가 사립으로 운영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일반 중학교의 수용에 한계가 있었다는 점과 빈곤 가정 학생에 대한 제도적 혜택이 마련되지 못했다는 것을 알려 주는 단서이다. 고등 공민학교는 1985년까지는 고등학교 입학 자격이 주어지지 않아 별도의 검정고시를 거쳐야만 했기에 1980년대 이후 고등 공민학교는 시설을 확장 정비하여 정규 중학교나 여타 교육 기관으로 인가를 받고자 하는 경향이 많아졌다.

1967년 부산의 고등 공민학교 현황을 보면 학교 수 13개[주간 7, 야간 6], 학급 수 40개[주간 21, 야간 19], 교원 수 79명[주간 43, 야간 36, 학생 수 1,756명[주간 925, 야간 831]이었다. 1968년 통계에 의하면 학교 수 14개[주간 8, 야간 6], 학급 수 50개[주간 28, 야간 22], 교원 수 93명[주간 51, 야간 42], 학생 수 2,226명[주간 1,144, 야간 1,082]이었다. 1974년 통계에서는 학교 수는 14개 교로 변동이 없으나 107개 학급에 학생 수 4,550명으로 일시적 증가 현상을 보였으나, 1977년에는 13개 교에 3,428명으로 도리어 줄어들었고, 1980년에는 11개 교, 50학급, 1,729명의 학생으로 축소되었다.

1980년에 남아 있었던 학교는 연산고등공민학교, 영경고등공민학교, 양정고등공민학교, 가야고등공민학교, 태양고등공민학교, 신촌고등공민학교, 욕성고등공민학교, 구봉고등공민학교, 삼육고등공민학교, 영락고등공민학교, 한성고등공민학교 등이다. 1983년에 들어와서는 가야고등공민학교, 신촌고등공민학교, 욕성고등공민학교, 한성고등공민학교 등이 문을 닫아 7개 교 866명으로 집계되었다. 1986년에는 연산고등공민학교, 양정고등공민학교, 영락고등공민학교, 삼육고등공민학교, 태양고등공민학교 등 5개 학교가 존립하였다.

그러나 1990년대에 들어서자 나머지 학교들은 모두 일반 중학교 또는 고등학교로 전환하거나 학생 수 부족으로 폐교되었다. 일반 학교로 전환한 경우를 예로 들면 삼육고등공민학교가 부성고등학교로 바뀌었다. 1995년에 태양고등공민학교의 폐교로 부산의 고등 공민학교는 막을 내리게 되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