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사리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871
한자 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舍利器
영어의미역 Sarira Container, a Collection of the Busan Metropolitan City Museum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동 948-1]
시대 고려/고려
집필자 최정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유물
재질 청동
크기 3.5㎝[높이]|3.5㎝[저경]
소유자 부산광역시립박물관
관리자 부산광역시립박물관
현 소장처 부산광역시립박물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 평화로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고려 시대 사리기.

[개설]

‘사리(舍利)’란 팔리어인 ‘사리라’를 한자어로 표기한 것으로, 부처의 몸에서 나온 뼈나 결정체를 진신(眞身) 사리라고 하였고, 부처가 설법한 내용을 기록한 경전을 법신(法身) 사리라 하였다. 사리구는 금·은·동·유리·수정·곱돌[蠟石]·나무 등으로 만들며 3겹·4겹·5겹으로 포개어 봉안하였다. 사리구의 형태는 각 나라마다 차이가 있는데, 우리나라는 방형의 합(盒)·함(函)·항아리·병·당탑형(堂塔形)·복발형(覆鉢形) 등으로 다양하다. 사리 안쪽에 놓이는 사리기일수록 더 좋은 재료를 쓰며, 가장 안쪽의 용기는 주로 유리나 수정으로 만든 병이 많다.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사리기는 고려 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형태]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사리기는 전각형 사리기로 청동으로 제작하였으며, 천개(天蓋)[닫집, 옥좌나 불좌 따위 위에 장식으로 만들어 다는 집의 모형] 모양의 덮개 부분이다. 옥신부와 옥개부, 앙화(仰花)가 남아 있으며, 옥개는 얇은 부조로 기왓골을 새겼다. 벽면은 처리하지 않아 모든 면이 뚫려 있다. 크기는 높이 3.5㎝, 바닥 지름 3.5㎝이다.

[의의와 평가]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사리기는 고려 시대 사리기 형식과 사리 봉안 형식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