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청소년 집단의 시험 관련 행위 금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613
한자 靑少年集團-試驗關聯行爲呪術
영어의미역 Examination-related Taboos on Behaviors in a Youth Group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정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현대 속신

[정의]

부산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소년들이 시험과 관련하여 특정한 행동을 기피하는 일.

[개설]

청소년 집단의 시험 관련 행위 금기는 부산 지역의 청소년들이 시험 결과에 나쁜 영향을 준다고 하여 머리카락, 손톱[발톱], 수염 등을 깎는 일상적인 행위를 꺼려서 하지 않거나 피하는 일이다. 금기는 신성한 것에 대한 경계, 부정(不淨)과 오예(汚穢)에 대한 기피라는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금기는 종교적 금기와 주술적 금기로 나눌 수 있다. 종교적 금기는 성스러운 대상에 대한 존경심을 유지하게 하고, 성스러움이 속된 것과 접촉함으로써 속화되는 것을 막는 것이다. 주술적 금기는 사람, 동물, 사물, 언어 등에 내재되어 있는 주술적인 힘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불길하고 위험한 사태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그것을 기피하여 방어하는 것이다. 청소년 집단에서 전승되고 있는 금기 문화의 경우 주술적 금기가 강한 전승력을 지니며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연원 및 변천]

청소년 집단에서 전승되는 행위 금기는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전통적인 주술적 사유와 현대 생활 문화가 결합한 것이라 이해할 수 있다. 기피의 동인에 따라 세분화하면, 준비 상태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변화를 기피하는 유형, 유사 주술적 사유에 의거하여 특정한 행위를 기피하는 유형, 감염 주술적 사유에 의거하여 특정한 대상을 기피하는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절차]

특별한 절차는 없다. 부산 지역에서 전승되는 금기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시험 전 날 쓰레기통을 비우거나 방 청소를 하지 않는다. 머리를 감지 않으며, 혹시 감을 때에도 샴푸를 사용하지 않는다. 머리카락, 손톱[발톱], 수염 등을 깎지 않는다. 빗질을 하거나 귀지를 파지 않는다. 로션을 바르지 않는다. 속옷을 갈아입지 않는다. 시험 치기 일주일 전부터 교복을 세탁하지 않는다. 펜이나 책을 떨어뜨리지 않으며, 떨어진 물건을 줍지 않는다. 시험 전날 공책이나 책을 찢지 않는다. 시험 기간에 책과 노트를 타인에게 빌려 주지 않는다. 음식이나 물건을 친구들과 반으로 나누지 않는다. 등굣길에 맨홀 뚜껑이나 도로의 파손된 부분을 밟지 않는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부산광역시 기장군에서는 “깎은 손톱·발톱을 쥐가 주워 먹으면 쥐가 그 집에 사람으로 태어난다[쥐가 사람 행세를 한다].”, “배를 건조하여 첫 출어 때 머리나 손톱·발톱을 깎으면 부정을 탄다.”는 속신이 전승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