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청사포 6·25 전쟁기 민간인 학살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604
한자 靑沙浦六二五戰爭期民間人虐殺
영어의미역 Civlian Massacre during the KoreanWar in Cheongsa-po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기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사건
관련인물/단체 국민보도연맹|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김종원
발생|시작 시기/일시 1950년 7~9월연표보기 -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 출신 국민보도연맹원 집단 살해
발생|시작 장소 청사포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지도보기

[정의]

6·25 전쟁 초 부산 청사포에서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 출신 부산 지역 국민보도연맹원들이 살해된 사건.

[역사적 배경]

해방 직후인 1945년 11월 5일 노동 운동 단체인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가 결성되었다. 이 조직은 이승만(李承晩) 정권에 자본주의 체제에 대한 심각한 도전으로 받아들여졌고, 1949년 좌익 전향 단체인 국민보도연맹이 창설되면서 최우선 가입 대상으로 지목되었다.

[경과]

부산에도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 산하 조직이 대거 결성되었다. 전국조선노조 부산지부, 전국금속노조 부산지부 등 산별 노조 외에 조선방직회사, 조선중공업회사 등 단위 공장까지 참여하였다.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에서 활동하였던 노동자들은 자신의 뜻과 무관하게 국민보도연맹에 가입되었고, 이듬해 6·25 전쟁이 터지면서 집단 살해되는 운명을 맞았다.

부산에서 조선금속공업을 경영하던 오 씨는 1950년 7~8월 CIC[Counter Intelligence Corps], 헌병, 경찰이 자신의 공장으로 찾아와 국민보도연맹에 가입된 노동자들을 데려갔고 그중 4~6명이 돌아오지 않았다고 증언하였다. 헌병은 부산헌병사령부 부사령관이던 김종원의 부하들이었다고 오 씨는 말하였다. 체포된 국민보도연맹원들은 청사포 인근 절벽에서 돌이 담긴 마대를 다리에 단 채 바다로 떨어져 숨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결과]

청사포 6·25 전쟁기 민간인 학살의 정확한 피해 규모는 파악되지 않고 있다. 조선금속공업 노동자 외에도 상당수 국민보도연맹원이 이곳에서 피살된 것으로 추정되나 현재까지 드러난 게 없다. 바다에 수장된 사건이라 현장 발굴을 통한 확인 작업도 불가능한 상황이다.

[의의와 평가]

청사포 6·25 전쟁기 민간인 학살은 공장 노동자들이 살해된 곳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 부산 지역 여러 학살 현장 가운데 이처럼 피해자의 직업이 구체적으로 확인된 예는 드물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