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5830 |
---|---|
한자 | 釜山大學校水産大學敎授大學自主化宣言 |
영어의미역 | College Independence Declaration of the Professors at College of Fisheries of Busan National University |
분야 | 역사/근현대,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문화·교육/교육 |
유형 |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
지역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대학로63번길 2[장전동 산30]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정승안 |
[정의]
1971년 부산대학교와 부산수산대학 소속 교수들의 ‘대학 자주화’ 선언.
[역사적 배경]
1971년 8월 전국의 대학에서는 대학의 자유와 교권을 확보하기 위한 교수들의 대학 자주화 선언이 잇달아 일어났다. 8월 18일 서울대학교의 ‘대학 자주화 선언’을 시작으로 8월 23일 경북대학교와 부산대학교에 이어, 9월 4일까지 전남대학교, 전북대학교, 충남대학교, 충북대학교, 강원대학교, 부산수산대학[현 부경대학교], 진주농대[현 경상대학교], 제주대학교의 순서로 10개의 지방 국공립 대학들이 빠짐없이 선언 또는 지지 성명을 발표했으며, 사립 대학에서도 ‘사학의 자주화 선언’을 발표했던 것이다.
[경과]
1971년 8월 23일 부산대학교 교수협의회는 대학의 자율성을 요구하는 건의문을 발표하였다. 이들은 ‘교수 연구비의 인상’, ‘기성회비를 교수 연구비로 조성할 것’, ‘대학 운영 관리의 자율성 보장’ 등 3개의 핵심 건의안을 채택하고, 이를 총장과 문교 당국에 건의키로 결의하였다. 25일 부산대학교 총학생회는 교수들의 대학 자주화 건의에 대한 지지를 선언하였다. 이에 27일 부산대학교 교수협의회는 학교 도서관에서 임시 총회를 열고 대학의 자율성 보장 및 교수 처우 개선 등 5개 항의 대정부 결의안을 채택하였다.
부산수산대학에서는 8월 27일 교권 수호 투쟁 선언이 본격화되었다. 부산수산대학 교수협의회 회장 김장량 등 19명의 교수는 ‘전공과목이 아닌 다른 과목의 강의를 거부했다는 이유로 학장이 교수를 파면 처분한 것은 부당한 처사이며 교권에 대한 중대한 침해’라고 주장하며, 교권 확립과 학원의 자유 수호를 위해 투쟁할 것을 선언하였다. 8월 31일 부산수산대학 교수협의회는 대학 자주성의 제도화와 교육 시설의 확충을 요구하는 8개 항목의 건의안을 문교 당국에 제출하기도 하였다.
[결과]
이러한 요구는 1971년 10월의 위수령과 12월의 국가 비상사태 선포 및 국가보위법의 발동, 1972년 10월의 유신으로 이어지는 체제의 경직화 과정에서 정부의 정치적 간섭과 냉담한 반응에 부딪혔다. 결국 힘의 한계를 절감하고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한 채 좌절되고 말았다.
[의의와 평가]
1971년에 진행되었던 대학 자주화 선언의 원인은 대학 운영의 자치와 자율성의 회복에 있었다. 이들은 대학에 대한 관료적 억압 및 빈약한 처우의 근본적 원인이 대학 운영의 비자치성에서 연유한다는 인식을 기반으로, 대학 발전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던 것이다. 격렬한 학생 운동의 와중에서 일어난 교수들의 집단적 의사 표명은 사회 여론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